728x90
반응형
■ 문절끼리의 관계

문절끼리의 관계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주어 서술어의 관계(주술의 관계)


② 수식·피수식의 관계

③  접속의 관계

④ 독립 관계

⑤ 병립의 관계 (대등한 관계)

⑥ 보조 관계

 

 


(1) 주어 서술어의 관계(주술의 관계)

 

 

「なにが(だれが)」 에 해당하는 문절을 주어라고 이야기를 하고 「どうする・どんなだ・なんだ」 에 해당하는 문절을 서술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그리고 주어와 서술어는 서로 연결이 되는 관계가 있습니다.즉 주어는 서술어와 관련이 있고 서술어는 주어를 받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花が 主語  咲く 述語  。

 

 

위 예문의 「花が」 가 「なにが」 에 해당하는 문절(주어)이고

 

「咲く」 가 「どうする」 에 해당하는 문절(서술어)입니다.

 

그리고 「花が」 는 「咲く」 와 관련되어 있고, 「咲く」는 「花が」 를 받고 있습니다.

이런것들을주어와서술어의관계로살펴보면주술어의관계,주술어의관계라고이야기를하시면되겠습니다.

 

 

 

 

 

(2) 수식·피수식 의 관계

 

다른문절을자세히설명하는,수식하는)문절을수식어修飾語 라고하고설명되는문절을피수식어被修飾語라고합니다.

 

 

小さな 修飾語  花が被修飾語 たくさん  修飾語   咲く被修飾語

 

 

위의 예문에서는 「小さな」 와 「たくさん」 가 수식어이고 「花が」와 「咲く」 가 피수식어입니다.

(「花が」 는 주어이며 「咲く」 는 서술어 인데 각각 「小さな」「たくさん」 는 피수식어입니다.) 

 

그리고, 「小さな」와 「花が」 가 받는 관계의 관계이며, 「たくさん」과 「咲く」가  받는 관게의 계이다.

 

(3) 접속의 관계

 

 

문과문,또는문절과문절을이어주는기능을하는문절을접속어라고이야기를합니다.

 

접속어는 뒤에 오는 문이나 문절과 관련이 있고 뒤에 오는 문이나 문절은 접속어를 받는 그런 관계가 있습니다.

 

 

【A】花が咲いた。だから 接続語  、虫が集まる 。

【B】花が 咲いたから  接続語   、虫が集まる 。

 

 

위의 A문에  「だから」는 접속사로 이루어진 문절이고, B문에  「咲いたから」 는 접속조사부터가 붙은 문절입니다.두문절모두접속어입니다.

 

 

그래서 「だから」 「咲いたから」 라던가 는 「虫が集まる」 라고 하는 부분과 관련되어 있고, 「虫が集まる」라고 하는 부분에서는 「だから」 또는 「咲いたから」를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접속어와 그것을 받는 부분과의 관계를 접속의 관계라고 합니다.

 

 

 

(4) 독립 관계

 

 

다른문절과직접적으로연결되지않고문중에서독립되어있는문절을바로독립어라고이야기를합니다.

 

독립어는 어떤 문절과도 관계가 없습니다.

 

 

ああ 独立語  、きれいな花だ。

 

위의 예문에서는 「ああ」 가 독립어입니다.

 

「ああ」 는 「きれいな」 와 「花だ」  두 문절 모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이럴 때 독립어와 그 외의 부분과의 관계를 독립적인 관계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5) 병립의 관계 (대등한 관계)

 

【A】花や 並立語  草木が 並立語   生おいしげる。

【B】草木や 並立語   花が 並立語  生いしげる。

 

 

A글의 「花や草木が」 라고 하는 부분에 대해서 단어의 순서를 거꾸로 한 것이 B글입니다.

 

「花」 이라든지 「草木」 이라고 하는 단어가 들어있는 문절들은 그 순서를 반대로 해도 글 전체의 의미는 바뀌지 않습니다.

 

이것은, 「花が(花や)」 과 「草木が(草木や)」と 라고 하는 문절이, 모두 「なにが」 (주어)를 나타내는 문절로서 대등한 관계에 있기 때문입니다.

 

이렇게두가지이상의문절이같은역할로대등하게나열되어있을때그러한문절끼리의관계를병립의관계혹은대등한관계라고합니다.(병립 관계에 있는 각각의 문절을 병립어 병립어라고 합니다.)

병립의 관계에 있는 문절들은 그 내용들을 서로 바꿔 넣어도 글의 의미가 달라지지 않습니다.

또한 병립 관계에 있는 문절끼리는 항상 하나로 뭉쳐서 하나의 문절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즉, 연문절이 되는 것이죠.

'

 

(6) 보조 관계

 

庭に 花が 咲いて 被補助語  いる 補助語  。

 

위의 예문에서는 「いる」 라고 하는 문절이, 그 앞에 「咲いて」 라고 하는 문절에 「今も続いている」 라고 하는 의미를 더해주고 있습니다.

 

이 경우 「咲いて」 가 나타내는 의미가 주된 것이며 「いる」 가 곁들이는 의미는 보조적인 것입니다.

 

「いる」 처럼 주된 의미를 나타내는 문절 바로 뒤에 붙어서 보조적 의미를 더해주는 기능을 하는 문절을 보조어라고 합니다.

그리고 주된 의미를 나타내는 문절(피보조어)과 보조어와의 관계를 보조 관계라고 합니다.

보조 관계에서 보조어는 피보조어 뒤에 나옵니다.수식,피수식의관계에서는수식어가피수식어의앞부분에오는데이것과반대되는것을주의하셔야합니다.

보조 관계에 있는 문절끼리는 항상 뭉쳐서 하나의 문절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즉, 연문절이 되는 것이죠.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