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문장의 성분의 위치

문장의 성분 성분의 위치 하나는 보통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① 술어…… 문장의 끝에 온다.

② 주어…술어부에서앞으로온다.  주어·수식어·의 늘어선 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다(교체할 수 있다).

③ 접속어 . 독립어·……문의 처음이 많다.

■ 도치·생략

문의 성분은 도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① 도치……술어와 다른 성분의 순서가 뒤바뀐다.

② 생략…… 글의 성분이 생략된다.

 

 

 


1 문장의 성분의 위치

글은여러가지요소(글의성분)으로구성되어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글의 성분이 글의 어느 위치에 오는가는 그 성분의 역할(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문장의 성분의 위치는 보통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1) 술어, 술부의 위치

 

서술어,술부는글의끝에옵니다.

 

 

子どもが公園で楽しそうに 遊んでいる  述部   。

 

 

위의예문에서는「遊んでいる」가술부이고글의끝에와있죠.

후술 구술하는 것처럼, 술어가 다른 성분보다 앞에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도치).

 

 

(2) 주어,수식어의 위치

주어나 수식어는 서술어보다 앞에옵니다.

 

子どもが  主語   公園で 修飾語  楽しそうに  修飾語   遊んでいる  述部   。

 

 

위에예문에서는「子どもが」가주어가되고 「公園で」 라고 「楽しそうに」 가수식어라고할수있습니다.

이 성분들은 모두 술부 앞에 와 있습니다.

위의 예문에서 서술부 이외의 성분이 나열되는 순서를 바꿔보면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이 글들은 다 글의 의미가 같습니다.

이렇게주어와수식어 아니면 수식어 끼리서로나열되는순서는정해져있지않습니다.

즉, 순서들을 바꿀 수 있습니다.

대부분 글의 경우 서술어, 술부 이외의 성분이 나열된 순서는 교체될 수 있고 또 그 순서에 따라서 글의 의미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주어, 주부나 수식어, 수식부의 순서에 따라서 문장의 구성, 문장의 의미가 명확하거나 애매해질 수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적당한 곳에 텐(, )을 찍거나 문장 성분의 순서를 바꿔서 애매해지지 않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접속어 , 독립어의 위치

 

접속어라든지 독립어라든지 이런경우는 글의 처음시작에 오는 경우가 많은 성분입니다.

다만 반드시 글의 처음에만 오는 것이 아니라 글의 중간에 놓일 수도 있습니다.

 

いつも掃除しているので   接続部 접속부   、部屋がきれいだ。

部屋が、いつも掃除しているので   接続部 접속부   、きれいだ。

 

 

위의 두 예문은 각각 접속부의 위치가 다른데, 둘 다 같은 의미입니다.

 

ああ 独立語독립어 、この部屋はいつもきれいだな。

この部屋は、ああ 独立語독립어 、いつもきれいだな。

 

위의 두 예문은 각각 독립어의 위치가 다른데, 둘 다 같은 의미입니다.

 

 

이상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서술어는글의끝에온다.

② 주어나 수식어는 서술어보다 앞에 와야 한다.

③ 주어와 수식어가 나열되는 순서는 정해져 있지 않다.

④ 접속어나 독립어는 글의 처음에 오는 경우가 많다.

 

 

 

2 도치 및 생략

 

 

 

(1) 도치

 

보통 글에서 서술어는 글의 끝에 옵니다.

그런데 서술어가 다른 성분보다 앞에 오는 경우도 있는데요.

다음 예문을 보세요.

 

 

【A】誰だ述語ガラスを割ったのは    主部    

【B】やり直しましょう   述語   最初から 修飾語 

 

 

A문에서는 「誰だ」 가 주가 되고 「ガラスを割ったのは」 이 서술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원래 서술어의 「誰だ」 가 글의 끝에 오고 문장의 주부의 「ガラスを割ったのは」 이 「誰だ」 보다 앞에 와야 합니다.

그런데 A글에서는 순서가 거꾸로 되어 있습니다.

B문에서는 「最初から」 가 서술어인 「やり直しましょう」 를 수식하는 관계가 있습니다.

그래서 원래대로라면「やり直しましょう」 가 글의 끝에 오고 「最初から」 가 「やり直しましょう」보다 앞에 올 것입니다.

그런데 B의 글도 순서가 거꾸로 되어 있어요.

이렇듯서술어와다른성분과의순서를보통과반대로하는것을도치라고합니다.

도치는 내가말하고자하는것을강조, 효과적으로표현하는방법입니다.

 

 

(2) 생략

 

글의 성분은 생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음 예문을 보세요.

 

 

【A】この料理はおいしい。しかも、安い。

【B】そんなことを言われても。

 

 

A의 문구에서 다음 문장의 술어인 「安い」 에 관련된 주어·주부가 없습니다.

그러나 「しかも」 다고 하는 접속어가 있고, 앞의 글 「この料理」 에 대해서 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즉, 뒤의 글에서는 「この料理」 라는 주부가 생략되고 있습니다.

또 B의 글은 「そんなことを言われても」 이라는 관련 문절밖에 없다, 술어에 해당하는 문절이 없습니다.

이는 원래 B의 문장 끝에 있을 것의 동사·술부에 해당하는 문절(가령「困る」「無理だ」 )이 생략되어 있기 때문이죠.

이처럼 전후 관계나 장면으로 표현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부분이나 표현하지 않는 편이 좋은 부분이 있을 때 그 부분이 생략되는 일이 있습니다.

반응형

'초보를 위한 일본어 문법 > 일본어 공부를 한다면 이건 알아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어와 그 종류  (0) 2021.06.01
글의 종류  (0) 2021.05.27
의성어 모음_ 건강, 즐겁다  (0) 2021.05.24
문절끼리의 관계  (0) 2021.05.18
문절의 종류  (0) 2021.05.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