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어란 경어는, 듣는 사람이나 화제중인 사람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사람(쓰는 사람)의 경의를 나타내기 위한 말씨이다. ■ 경어의 종류 경어은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①높임말 ……사람의 동작·상태·소지품 등을 높인다. ②겸양어… 화자가 자기 쪽의 동작등을 겸손하게 한다). ③ 정중어 … 말하는 사람(쓰는 사람)이 말하는 방식을 정중하게 한다. |
1. 존댓말이란
【A】あなたの 言う とおり だ 。
【B】あなたの おっしゃる とおり です 。
A의 글이나 B의 글이나 모두 기본적으로 같은 내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각의 글에서 받는 인상은 많이 다릅니다.
예를 들면, 자신(화자)이 이야기 상대(화자)보다 윗사람(연령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이거나 서로 친한 사이이거나 하는 경우에는, A의 글과 같은 말투도 좋습니다.
그러나, 자신이 이야기 상대보다 목하(나이나 지위가 낮은 사람)이거나 상대가 처음 만난 사람이거나 했을 경우는 어떻습니까.
상식적으로 생각하면 그런 경우에는 A와 같은 말투에서는 실례가 되고, B와 같은 말투로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A의 글과 B의 글과의 이러한 인상의 차이는, 말 속에 상대를 공경하는 마음(경의 경위)이 담겨져 있을까 하는 점에서 생기고 있습니다.
B의 글의 말에서는 상대방에 대한 경의를 느낄 수 있지만, A의 글의 말에서는 그것을 할 수 없습니다.
*
또, 다음의 예는 어떨까요?
【C】先生に 言っ たことを君(きみ)にも話そう。
【D】先生に 申し上げ たことを君にも話そう。
두 예문의 차이도 앞의 예와 마찬가지로 경의를 느낄 수 있는가 하는 점에 있습니다.
D문에는 높임말이 있지만 (말씀) C문에는 없습니다.
단, B의 글과는 달리, 경의를 표하고 있는 사람은 눈앞에 있는 이야기 상대(이야기를 듣는 사람)가 아닙니다.
화자의 경의는「先生」 이라고 하는 화제로 하고 있는 사람에 대해서 향해지고 있습니다.
이상 위에 서술한것 처럼 일본어 안에서는,상대방이나장면에 어울리도록 경의를 표하는 말씨를 하는 것이 많이 있습니다.
이야기를 듣는 사람이나 화제중인 사람에 대해서 말하는 사람의 경의를 나타내기 위한 말씨를 敬語 경어라고 합니다.
경어는 아니지만 경어와 비슷한 말로 改(あらた)まり語 교환어라고 불리는 것이 있습니다. (교환어라고 한느지 모르겠네요) 같은 말을 해도,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말투를 바꾸는 것이, 격식을 차린 인상을 상대에게 줄 수 있습니다. ・こっち → こちら ・きょう → 本日(ほんじつ) ・さっき → 先ほど ・よい → よろしい ・ちょっと → 少々(しょうしょう) 높임말을 사용할때는, 교환어 함께사용하도록하죠. |
2. 경어의 종류
존댓말은 사람에 대한 경의(존경하는 마음)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그리고 존댓말은 높임을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서 높임말, 겸양말, 공손어의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尊敬語(そんけいご) 존댓말
어떤 사람의 동작, 상태, 소지품 등을 높임으로써 그 사람에게 경의를 표하는 말을 존댓말이라고 합니다.
あの方(かた)は、何でも 召(め)し上(あ)がる 。
先生が ご病気 だと聞いておどろいた。
お荷物 をお預(あず)かりします。
위의 예의 「召し上がる」「ご病気」「お荷物」 이 존댓말입니다.
(2) 謙譲語 (けんじょうご) 겸양어
화자가 자신이나 자신의 쪽의 사람의 동작등을 낮추는 것으로, 이야기를 듣는 사람이나 화제중의 사람에게 경의를 나타내는 말을 겸양어라고 합니다.
先生のご自宅(じたく)に 伺(うかが)う つもりだ。
明日、東京へ 参(まい)り ます。
私(わたくし)ども から お願いいたし ます。
위의 예시 「伺う」「参り」「私ども」「お願いいたし(お願いいたす)」 가 겸양어입니다.
"존경어와 겸양어의 차이는 존칭어가 직접적으로 경어 있는 사람을 높이는 데 반해, 겸양어는 자기 쪽을 낮춤으로써 간접적으로 경어 있는 사람을 높인다는 점에 있습니다"
(3) 丁寧語(ていねいご)공손어
말하는 사람(쓰는 사람)이 말하는 방법을 정중하게 하는 것으로 이야기하는 사람(읽는 사람)에게의 경의를 나타내는 말을 정중어라고 합니다.
これが私の作品 です 。
駅前へ買い物に行き ます 。
あちらに お席(せき) が ございます 。
위의 예시 「です」「ます」「お席」「ございます」 가 정중어입니다.
높임말을분류하는방법에는 ,위의세가지로 나누는 방법 말고도 네가지 혹은 다섯가지로 나누는 방법도 있습니다. "3종류 중 공손어를 공손어와 미화어의 두 가지로 나누면 네 종류가 되며, 다시 겸양어를 겸양어Ⅰ과 겸양어Ⅱ(정중어)로 나누면 다섯 종류가 됩니다" |
5種類경어 | 4種類 | 3種類 |
尊敬語 존댓말 | 尊敬語존댓말 | 尊敬語존댓말 |
謙譲語Ⅰ겸양어 | 謙譲語겸양어 | 謙譲語겸양어 |
謙譲語Ⅱ겸양어 (丁重語) |
||
丁寧語공손어 | 丁寧語공손어 | 丁寧語 |
美化語미화어 | 美化語미화어 |
경어에는 높임말·겸양어·정중어의 세 가지가 있다. 높임말은 상대방의 동작 등을 높인다. 겸양어는 자기 동작 등을 낮춘다. 공손한 말은 말을 정중하게 한다. |
'초보를 위한 일본어 문법 > 일본어 공부를 한다면 이건 알아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어_ 공손어 (0) | 2021.06.15 |
---|---|
경어_ 겸양어 (0) | 2021.06.08 |
글의 종류 (0) | 2021.05.27 |
글의 성분 위치 (0) | 2021.05.25 |
의성어 모음_ 건강, 즐겁다 (0) | 2021.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