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조상의 종류 글은 그 구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되는 ① 단문 … 주어 서술어 관계가 하나만 있다. ② 복문 … 주어·서술어의 관계가 두 가지 이상이고, 하나 이상이 연문절로 되어 문장의 성분 성분에 포함된다. ③ 중문 …… 주어·서술어의 관계가 두 개 이상 있고, 그것들이 병립한다. ■ 의미상의 종류 글은 그 의미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① 평서문 …… 단정·추량·결의 결의 등을 나타낸다. ② 의문문… 의문이나 반어 반어를 나타낸다. ③ 감동문… 감동을 나타낸다. ④ 명령문……명령·금지·의뢰를 나타낸다. |
1 구조상의 종류
(1) 단문
冷たい 雨が 主語 はげしく 降りそそいだ 述語 。
이 예문에는 주어인 문절과 서술어인 문절이 각각 한 가지만 있습니다.즉 주어, 서술어의 관계가 딱 한 번만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가 있는데요.
이렇게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한 번만 있는 문장을 단문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2) 복문
先生が (主語) 言った (述語) 言葉が (主語_ 胸に 響いた (述語_ 。(主部)
이 예문에서는 「響ひびいた」 라고 하는 서술어의 문절과 '말이'라고 하는 주어의 문절이 어울리는데요.
그리고 「言葉が」 문절을 「先生が言った」 라고 하는연문설이 수식을 해주어서 「先生が言った言葉が」 라고 하는 조금 더 큰 연문절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이것이 글의 성분 성분으로 주부가 되고 있습니다.
「先生が言った」 라고 하는 연문절은 「言った」 라고 하는 서술어의 문절에 「先生が」 라고 하는 주어의 문절이 관련된다고 볼 수가 있습니다.
이 예문에서는 주어, 서술어의 관계가 두 번 이루어져 있는데, 각각의 주어, 서술어의 관계는 대등 대등한 관계는 아닙니다.
「先生が—言った」 라고 하는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는 문장의 성분으로서 주부에 포함되는 연문절일 뿐입니다.
이렇게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두 가지 이상인데 하나 이상이 연문절로 이루어져 있고 문장의 성분에 포함되는 문장을 복문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위 예문에서는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주부에 포함되어 있는데 다음 예문처럼 다른 종류의 성분들에 포함되는 경우도 있는데요.
これは 主語주어. 、私の 母が 主語주어. 描いた 述語술어 絵です 述語술어 。(述部술부)
花子は 主語주어. 、太郎が 主語주어. 来るのを 述語술어 待っている 述部술어 。(修飾部)
体調が 主語주어. 悪かったので 述語술어 、太郎は 主語 休んだ 述語술어 。(接続部)
(3) 중문
兄は 主語 高校生で 述語 、妹は 主語 小学生だ 述語 。
이 예문에서는 주어의 문절과 서술어의 문절이 각각 두 개씩 있는데요.
「兄は」(主語) 와 「高校生で」(述語)、「妹は」(主語) 와 「小学生だ」(述語) 같이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두 번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각각의 주어, 서술어의 관계는 대등하게 나란히 (병립해서) 있습니다.즉, 순서를 바꾸어도 문장의 의미는 바뀌지 않습니다.(「妹は小学生で、兄は高校生だ。」가 됩니다.)
이렇듯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가 두 가지 이상이 있을 수가 있어서 그것들이 병립되어 있는 문장을 중문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구조상의 종류(단문·복문·중문)는 주술관계를 기준 기준으로 구분한다. 주술 관계가 하나면 단문, 둘 이상이면 복문 또는 중문. 중문은 주술 관계가 병립되어 있다. |
2 의미상의 종류
(1)평서문
평서문은 단정,추량,결의등을나타내는글입니다.의문문,감동문,명령문 모두 아닌 보통의 글이 이에 해당합니다.
평서문은 다음 예문과 같이 끊어지는 문절이 활용어(용언요언, 조동사 조동사)의 종결형 수지계로 끝이 납니다.
あれが私の通う学校 だ 。(断定단정)
妹は、もうすぐ帰ってくるだろ う 。(推量추량)
いっしょにご飯を食べ よう 。(決意결의)
(2) 의문문
의문문은의문이나반어반어를나타내는글이에요.
의문문에서는 다음 예문처럼 의문을 나타내는 단어(「だれ・いつ・どんな」등 ) 가 자주 쓰입니다.
또 보통은 끊어지는 문절이 의문을 나타내는 조사 (「か・の」) 로 끝납니다.
どんな 料理が好きです か 。(疑問)
ずっと遊んでばかりでよいの か 。(反語)
反語반어는 화자의 주장과 반대되는 것을 의문의 형태로 제시함으로써 화자의 주장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노린 표현입니다. 「ずっと遊んでばかりでよいのか。」 는 그냥 놀기만 해서는 결코 안 된다는 것을 진짜로 말하고 싶은 거예요. 반어에서는 뒤에 나와야 할 부정의 말들이 생략이 되어 있다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遊んでばかりでよいのか」 뒤에 「いや、よくない。」 와 같은말이생략되어있다고생각할수있습니다. |
(3) 감동문
감동문은 감동을 나타내는 글이죠.
감동문에서는, 다음의 예문과 같이, 글의 처음에 감동사 (「ああ・おお・まあ」등 )가 오거나 끊어지는 문절이 감동을 나타내는 조사 (「な(なあ)・ね(ねえ)」 등)로 끝나거나 합니다.
ああ 、この作品はすばらしい。
これは、すばらしい作品だ ね(ねえ)。
(4) 명령문
명령문은 명령, 금지, 의뢰를 나타내는 글이죠.
명령문은요, 다음예문처럼잘리는문절이 활용어(용언,조동사)의명령형,또는금지를나타내는조사나로끝납니다.
もっと本を 読め 。(命令명령)
いつまでもくよくよする な 。(禁止금지)
ぜひ来て ください 。(願望의뢰)
'초보를 위한 일본어 문법 > 일본어 공부를 한다면 이건 알아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어_ 겸양어 (0) | 2021.06.08 |
---|---|
경어와 그 종류 (0) | 2021.06.01 |
글의 성분 위치 (0) | 2021.05.25 |
의성어 모음_ 건강, 즐겁다 (0) | 2021.05.24 |
문절끼리의 관계 (0) | 2021.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