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연문절

연문설이란 연속된 두 개 이상의 문절이 하나로 뭉쳐 하나의 문절과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을 말한다.

연체수식어 연체수식어, 병립병립의 관계나 보조적 관계에 있는 문절은 늘 연문절이 된다.

■ 글의 성분이란

글의 성분이라 함은 문장을 조립하고 있는 부분(요소)을 말한다.가장 큰 연문절과 일치한다.

■ 글의 성분의 종류

글의 성분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① 주어……「なにが・だれが」 를 나타낸다.

② 술어 ……「どうする・どんなだ・なんだ」를 나타낸다.

③ 수식어 ……「いつ・どこで・なにを・どのように」 등으로 서술어를 자세히 설명한다.

④ 접속어 ……앞뒤를 연결하여 어떤 관계인지를 나타낸다.

⑤독립어……문중에서 다른 부분으로부터 독립되어 있다.


1 연문절

글은문절이라고하는단위로세밀하게나눌수가있습니다.

그리고 각각의 문절들은 주어, 서술어, 수식어 등의 역할을 하는데요.

그런데 이 한 문에 포함되는 문절의 수가 많아지게 되면 두 개 이상의 문절이 하나로 묶여서 주어나 서술어나 수식어 등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チンパンジーの 知能は とても高い。(主部)

あの人は、有名な 作家だ 。(述部)

やらわかい ソファーの 上に 座った。(修飾部)

消しゴムが なかったので 、借りた。(接続部)

明あけ方がたの 空に 見える 星 、あれが金星きんせいです。(独立部)

 

 

이 예문들은 모두 두 가지 이상의 문절이 하나로 묶여서 하나의 문절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예문에서, 「チンパンジーの」는 「知能は」와 관련되는 문절입니다만, 이러한 문절이 하나로 합쳐져서 주어와 같은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연속된 두가지 이상의 문절이 하나로 뭉쳐서 하나의 문절과 같은 작용을 하는 것을 바로 연문절이라고이야기를합니다.

 

연문절이 어떤 작용을 하는가는 연문절의 마지막 문절의 작용에 따라 결정됩니다.



체언을 수식 하는 문절(연대 수식어 )은, 항상 수식되는 문절(피수식어)과 함께 연문절이 됩니다.

또 다음 예문처럼 병립의 관계라든가 보조적 관계에 있는 문절끼리도 항상 연문절이 됩니다.

'

 

私は、電車と バスで  並立の関係   通います。(修飾部)

夕日が地平線ちへいせんに しずんで いく  補助の関係   。(述部)

 

연체 수식어, 병립 관계의 문절, 보조 관계의 문절은 항상 연문절이 된다.
문절을 연문절로 정리하려면 다음과 같이 해야 합니다.

(例)とても|美しい|花が|庭に|たくさん|咲いて|いる。

연체 수식어와 피수식어는 항상 연문절이 된다.

美しい 연체 수식어  ―花が 피수식어

② 연체 수식어와 관련된 문절이 있을 때는 우선 그것들이 연문절이 된다.

とても 수식어 - 美しい 피수식어

③ 병립 관계나 보조 관계에 있는 문절끼리는 항상 연문절이 된다.

咲いて―いる 보조 관계 

→ とても 美しい 花が   主部    庭に 수식어  たくさん  수식어   咲いて いる 술부 

「庭に」 「たくさん」 는 서로 연속되어 있어도 문절끼리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연문절이 되지는 않습니다. 

 

 

 

2 문장의 성분이란

글은 여러 가지 역할을 하는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僕は、水面をはねるイルカを見た。」 라는문장이있어요.

 

이 글은 「だれ(なに)が」「なにを」「どうする」 이렇게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だれが」 를 나타내는 것이 「僕は」

「どうする」 를 나타내는 것이 「見た」

 

「水面をはねるイルカを」 부분이 「なにが」 

 

각각의 부분은, 「だれ(なに)が」「なにを」「どうする」라고 하는 문장중에서의 역할에 주목해 구분된 의미의 덩어리입니다.

 

이러한글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부분들(요소)을 글의성분이라고합니다.

 

다시 한 번 「僕は、水面をはねるイルカを見た。」 라고 하는 문장을 보시면, 「僕は」「水面を」「はねる」「イルカを」「見た」 라고 하는 다섯 문절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 「僕は」 과 「見た」 는 글의 성분과 일치하지만 「水面を」「はねる」「イルカを」 은 글의 성분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또, 「水面を」와 「はねる」 는, 관계의 관계에 있어 연문절 「水面をはねる」가 됩니다.그런데 이것도 글의 성분과는 일치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그 「水面をはねる」 가 「イルカを」 에 관련되어 더 큰 연문절 「水面をはねるイルカを」이 될 때에는 그 연문절은 글의 성분과 일치합니다.

 

 

이렇게문절이나연문절이반드시문의성분과일치하는것은아닙니다.

다만 가장 큰 연문절과 글의 성분은 일치합니다.

 

 

문장의 성분은 문절,연문절로헷갈릴수있는데요, 문절,연문절과는다른단위이다,라고하는것을유의해주시기바랍니다.

글의 성분은 글의 구조를 밝혀주기 위해서 필요합니다 .문장을 그것을 직접적으로 조립하고 있는 각 성분으로 분해하는 것은 글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이에 비해 문절은 단어(품사)로 분해하거나 단어의 문법상의 성질을 조사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3 문의 성분의 종류

문장의 성분의 역할은 문절의 작용하고 거의 같습니다.

다만문절과달리문장의성분에는연대수식어라던지병립어,보조어에해당되는것이없습니다.

글의 성분에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덧붙여 문의 성분이 1문절일 때는 「―語ご」 라고 하고, 둘 이상의 문절(연문절)일 때는 「―部ぶ」라고 합니다.

 

문절이 하나인지 여럿인지에 관계없이, 문의 성분을 모두 「―部」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1) 주어 (主語,主部  )

 

主語・主部 는 「なにが・だれが」 에 해당하는 부분입니다.

 

風が主語 ふく。

冷たい風が  主部   ふく。

 

(2) 술어 (述語,述部)

 

述語・述部는 「どうする」「どんなだ」「なんだ」에해당하는부분입니다.

 

主語・主部 는, 그 동작·상태·성질·내용등을 나타냅니다.

 

 

虫が 鳴く述語 。

虫が 鳴いている  述部   。

 

 

(3) 수식어  (修飾語,修飾部)

 

修飾語・修飾部는 「いつ(時間)・どこで(場所)・なにを(対象)・どのように(方法)」 등을 나타내고 述語・述部 를 자세히 설명하는 부분입니다.

 

彼は、速く修飾語 走れる。

彼は、とても速く  修飾部   走れる。

 

 

문장의성분으로서 修飾語・修飾部 는항상 述語・述部 를수식합니다.

 

연체수식어는 항상 문성분의 일부조이지,그것만으로문성분으로서의 修飾語・修飾部 가될수는없습니다.

(例)これは 有名な連体修飾語 絵です。
 →「有名な絵です」で述部になる。

 

(4) 접속어 (接続語,接続部)

 

接続語・接続部 는앞뒤를연결해서어떤관계를갖추고있는가를나타내는부분이에요.

 

夕飯を食べて、それから 接続語  、国語を勉強しよう。

天気がよかったので    接続部     、遊びに出かけた。

 

 

 

(5) 독립어  (独立語 , 独立部)

 

独立語・独立部 는글에서다른성분으로부터독립되어있는부분입니다.감동, 호소, 응답, 제시 등을 나타냅니다.

 

こんにちは  独立語   、いい天気ですね。

ライバルに負けた   独立部    、それがくやし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