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문절의 작용

문절을 글 중에서 주어(主語しゅご) * 술어(述語じゅつご)* 수식어(修飾語しゅうしょくご)*접속어 接続語せつぞくご

독립어(独立語どくりつご)처럼 기능한다.

(例)  鳥が 主語  鳴く 述語 。

(例) 安いのに 接続語 、うまい。

(例) さあ 独立語、やろう。


■주어와 술어

花が 主語  咲く 述語 。

① 주어 …'무엇이'에 해당하는 문절.생략될 수 있다.

②서술어 …'어떠하다·어떠하다·무엇이다'에 해당하는 문절.보통 글의 끝에 온다 (예외는 도치와 속문).

③주어 서술어의 관계는 문장의 골격을 이룬다.

 

 

 

 


1 한 문절의 작용

글은 문절과 불리는 단위로 나눌 수 있습니다 ('말의 단위' 페이지 참조).

 

문절은 글을 조립하고 있는 기본적인 부분이고, 글은 다양한 기능을 하는 문절들이 결합되어 있습니다.

정확하게이야기하면직접적으로글을조립하고있는부분은글의성분이지문절이아닙니다.

글의 성분은 한 개의 문절로 이루어져 있기도 하고 두 개 이상의 문절로 이루어져 있기도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글의 성분' 페이지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문절은, 글 중에서 주어(主語しゅご) * 술어(述語じゅつご)* 수식어(修飾語しゅうしょくご)*접속어 接続語せつぞくご
독립어(独立語どくりつご)처럼 기능한다.


다음 표는 이들 다섯 문절의 기능 예입니다.

 

문절의 작용
주어, 서술어 鳥が 主語  鳴く 述語 。
새가 운다
수식어 ゆっくり 修飾語  歩く。
천천히 걷다
접속어 安いのに 接続語 、うまい。
저렴한데 맛있다
독립어  さあ 独立語、やろう。
자, 하자! 

 

 

주어와 술어

글은 기본적으로 '何が(だれが)'에 해당되는 부분과 「どうする」, 「どんなだ」, 「何だ」 에 해당되는 부분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음 그림을 보세요.

 

이렇듯 글은 보통 '무엇이' 에 해당 되는 문절이 먼저 오고 그것을 대응하는 형식으로

「どうする」, 「どんなだ」, 「何だ」 에 해당 되는 문절이 뒤로 이어집니다.

전자의 문절이 주어이고, 후자의 문절이 서술어입니다.

 

 

 

 

 

 


(1) 主語しゅご

 

「何が(だれが)」 에 해당되는 문절을 주어라고 부릅니다.

주어는 글의 주제나 동작의 주체를 나타내는 기능을 합니다.

 

위의 그림에서는 【―が】 형태의 문절이 주어로 되어 있습니다만, 주어가 되는 것은 그것만이 아닙니다.

 

【―が】 외에도, 【―は】【―も】 등 다양한 형태의 문절이 주어가 됩니다.

 

 

木星は、ガスで できた 惑星です。
목성은 가스로 된 행성입니다.

土星も、そうです。
토성도 그렇습니다.

 

또, 일본어의 문에서는, 주어가 생략되는 것이 드물지 않습니다.다음 예문으로 확인하세요.

 

いつか 火星に 行って みたい。(主語の省略)
언젠가 화성에 가서 같다. (주어 생략)

 

 

 

(2) 述語じゅつご

 

「どうする」「どんなだ」「何だ」에 해당하는 문절을 서술어라고 부릅니다.

 

 

서술어는주어에대해서설명해주는기능을합니다.

서술어(전체적인서술어)는문장의끝에오는경우가보통있는데요.

하지만 반드시 글의 끝에 오는 것은 아닙니다.

다음 예문처럼 서술어가 주어같은앞에 오기도 하는데 이러한 표현들을 도치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寒いですね、この 部屋は。(主語の前)
춥네요. 이 방은. (주어 앞)

この 部屋は 寒いですとても。(修飾語の前)
이 방은 추워요, 너무. (수식어 앞)

 

 

(3) 주어 서술어의 관계



주어의 문절과 서술어의 문절 사이에는 주어는 서술어에 걸리고 서술어는 주어를 받는다고 하는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문절간의관계를주어와서술어의관계라고이야기를합니다.

주어와서술어의관계는문장의골격입니다.

다시 말해서 글의 성립을 알기 위해서는 첫번째로는 그 글의 주어와 서술어가 되는 문절이 무엇인가를 생각해 볼 필요가있는데요.

 

(4) 주어. 서술어 찾아내는 법

 

 

어떤 글 안에서 주어와 서술어를 찾으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살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①문을 문절로 나누다.

②문장 끝에 주목하여 서술어를 찾는다.

③ 그 서술어에 대응하는 주어를 찾는다.

 

 

다음 예문을 사용 해서 실제로 주어와 서술어를 찾아보도록하겠습니다.

これが 私が 飼って いる 猫だ。

첫번째,이글을 문절로 나눕니다. 

これが|私が|飼って|いる|猫だ。

 

②그리고 서술어의 문절은 문장 끝에 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どうする」「どんなだ」「何だ」「ある・いる」 에 해당하는 문절을 문장 끝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예문의 서술어는 「何だ」 에 해당하는 「猫だ」 라고 하는 문절입니다.

 

찾은 서술어에 대응 할 수 있는 주어를 찾을수있습니다. 

 

서술어「猫だ」 와 연결되는 주어로 「これが」 와 「私が」 두가지문절이생각이됩니다.

 

이렇게 주어의 후보가 되는 문장이 여러 개 있을 경우에는 문장 전체의 의미를 생각해서 가장 적당한 것을 골라야 합니다.

 

「猫だ」 에 대한 주어를 「私が」로 파악하면 「私が猫だ」라고 하는 의미의 문장이 되어 버려서 이상한데요.

 

그래서「猫だ」 라고 했을 때 이 「これが」가 주어로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