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접속어
接続語せつぞくご는 전후의 문·문절을 연결하여 앞의 일이 이후의 일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기능을 하는 문절이다.

■독립어

独立語どくりつご는, 문중의 다른 문절로부터 독립된 문절이다.글의 처음에 와서 감동, 호소, 응답, 제시의 의미를 나타낸다.

まあ、こんなに 食べたのまあ、(감동 感動)
어머나, 이렇게 먹었어

徳川さん、昼食を 一緒に 食べよう。(부름 呼びかけ)
도쿠가와 씨, 점심 같이 먹어요.

はい、一緒に 食べましょう。(응답 応答)
네, 같이 먹어요.

1月5日、その 日が 僕の 誕生日です。(제시 提示)
1월 5일 그날이 제 생일이에요.

 

 


 

1. 접속어

① 遅く 起きた。だから、授業に 遅刻した。

늦게 일어났다.그래서 수업에 지각했다.

 

② 遅く 起きたから、授業に 遅刻した。

늦게일어나서수업에지각을하였다.

 

 

예문 ①은 두 개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문장인데, 적자 부분의 문절 「だから」 가 있음으로써 앞문장과 뒷문장의 의미가 연결됩니다.

 

즉, 뒷 문장 첫 번째 문절 「だから」 가 앞 문장 때문에 생기는 일이고 뒷 문장이 그 결과인 것처럼 관계를 나타내는 거고요.

 

또예문②은 한 문장인데 「起きたから」라는 문절이 글의 앞부분의 의미와 뒷부분의 의미를 연결해서 예문①과 같은 관계(원인과결과)를 나타내는 작용을 합니다.

 

이렇듯 문장과 문절 혹은 문절과 문절 등을 연결해서 앞의 일들이 뒤의 일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그런 작용을 하는 문절을 접속어로 설명해야 합니다.

접속어가나타내는관계는여러가지가있습니다.

 

「だから」「それゆえ」 등과 같이 원인·이유와 결과·결론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順接じゅんせつ 순접의 준말 _ 두개의 글 또는 구가 이론상 순리적으로  접속됨)이나, 

「しかし」「だが」 등과 같이 이전과 반대의 사항이 뒤에 오는 관계를 나타내는 것(逆接ぎゃくせつ 역접_ 두개의 글 또는 구의 접속  방법으로서 갑에서 예측되는 사항이 을에서 실현되지 않는 관계를 말함 )

「つまり」「ただし」 등과 같이 앞의 사항을 설명하거나 보충 가늘게 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접속어와 헷갈리는 문법용어에 접속사, 접속조사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들이 비슷한 용어들이지만 문법적으로는 분명하게 구분을 해주셔야합니다.

 

이들 차이점은 접속어는 문절의 기능을 가리키는데 접속사, 접속 조사는 단어의 종류를 가리킨다, 라고 생각을 하시면 돼요.

접속사와 접속 조사는 접속어를 만들 수 있는 단어예요.

접속사는 위 예문 ①의 「だから」 처럼 그냥 단독으로 접속어가 되는 거예요.

접속조사는, 위의예문② 「起きたから」의 「から」 처럼 반드시 다른말에 붙어서 접속어를 만듭니다.


 

 

 

 

2. 독립어

 

ああ、今日は よい 天気だ。

아, 오늘은 좋은 날씨다.

 

 

예문에서 「ああ」라고하는것은 문중에 다른문절, 「今日は」「よい」「天気だ」 이런 것 들과 주어와 서술어, 수식어와 같은문절간의 관계가 없습니다.

 

 

즉, 「ああ」 라고 하는 문절만이, 문중에서 다른 문절로부터 독립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문중의 다른 문절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고 독립된 문절을 독립어로 불러오는데요.

 

독립어는 엄밀히 말하면, 문장 내에서 완전히 독립된 문절이 아니라 비교적 독립적인 문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비교적'이라고 하는 말은 일단 글을 구성하는 부분인 이상 완전히 독립되어 있다고 할 수는 없지만, 다른 문절끼리의 관계와 비교했을 때 관계가 약하다, 라는 뜻입니다.

독립어는 보통 문장의 맨 앞에 위치하는데 감동, 부름, 응답하자, 제시자 등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다음 예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まあ、こんなに 食べたの。(感動)
어머나, 이렇게 먹었어.(감동)

徳川さん、昼食を 一緒に 食べよう。(呼びかけ)
도쿠가와 씨, 점심 같이 먹어요. (부름)

はい、一緒に 食べましょう。(応答)
네, 같이 먹어요. (응답)

1月5日、その 日が 僕の 誕生日です。(提示)
1월 5일 그날이 제 생일이에요. (제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