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식어 サクラの 수식어 花びらが 피수식어 、ちらちらと 수식어 舞う 피수식어 사쿠라의 꽃잎이 드문드문 흩날리다. ① 修飾語(しゅうしょくご) _ 수식어 …다른 문절에 걸려 그 뜻을 자세히 설명하는 문절 ② 수식어는 피수식어被修飾語(ひしゅうしょくご )(수식어에 의해 설명되는 문절)보다 앞에 있다. ③ 체언의 문절에 걸리는 수식어를 연체 수식어 (連体(れんたい)修飾語) 용언의 문절에 걸리는 수식어를 연용 수식어連用(れんよう)修飾語라고 한다. サクラの 연체수식어 連体修飾語 花びらが 체언 문절 体言文節 、ちらちらと 연용 수식어連用修飾語 舞う 용언 문절用言文節。 |
1 수식어란
문장을 조립하고 있는 부분 중 에서 문장의 뼈대가 되는 것은 주어와 서술어입니다.
(문절의종류(1) 주어와서술어 페이지 참조해주세요).
하지만 글은 대개의 경우에는 주어와 서술어 이외의 것이 추가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음 예문을 보세요.
小さな 子どもが 주어 公園で 元気に 遊ぶ 술어。
이 문장은 주어와 서술어가 되는 문절 외에도 여러 가지 문절들이 결합되어 있는데요.
아래 그림을 보세요.

「小さな」 는 주어가 되는 「子どもが」에 걸려서 어떤 아이인지를 설명하는 그런 문장인데요.
그다음에 「公園で」「元気に」 라는 문장들은 각각 서술어가 되는 「遊ぶ」 에 따라서 어디서, 어떻게 놀 것인지를 설명해 주는 그런 문절인데요.
이렇게 다른 문절에 걸려서 그 내용을 자세히 설명해주는 문절을 수식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덧붙여 앞에 있는 문절이 뒤에 놓인 문절에 걸쳐 자세하게 설명하는(한정하는) 것을, 「수식하다」라고 합니다.
수식어가 되는 문절의 형태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小さな」「とても」「きれいな」 과 같이 1어로 이루어진 수식어도 있는가 하면, 「公園で」「サクラの」 와 같이 2어 이상으로 이루어진 수식어도 있습니다. 「本を読む。」에서 「本を」 처럼 '무엇을'에 해당하는 문절도 수식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は】 형태의 문절은 주어가 될 뿐만 아니라 수식어가 되기도 합니다. ○ 私は 주어、チーズは 수식어 食べない。 |
2.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
サクラの 수식어 花びらが 주어, ちらちらと 수식어 舞う 술어.
이 문장에서는, 「サクラの」 의 문절이 「花びらが」 의 문절을 수식해, 「ちらちらと」 의 문절이 「舞う」의 문절을 수식하고 있습니다.
즉, 「サクラの」와 「ちらちらと」의 문절이 수식어이며, 「花びらが」 와「舞う」의 문절이 수식어에 의해서 설명되고 있는 문절입니다.
이렇게 수식어로 설명되는 문절을 피수식어 라고 부릅니다.
수식어와 피수식어 사이에는 전자가 후자에 걸리고 후자가 전자를 받는 그런 관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문절의 관계를 수식, 피수식의 관계라고 합니다.
예문처럼 원칙적으로 수식어는 피수식어보다 앞에 있는데요.
수식어가 피수식어보다 뒤에 오는 것은 보통 없습니다(예외는 도치와 속문입니다).
하지만 수식어가 피수식어 앞에 있다고 해서 반드시 피수식어의 바로 앞에 있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서 다음 문장처럼 수식어와 피수식어사이에 또 다른 관계의 문절이 들어가기도 합니다.
公園で 수식어 小さな 子どもが 遊ぶ 피수식어。
그 중에서 어떤 수식어의 피수정식어를 찾으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①,글을문절로나누어요. 公園で|小さな|子どもが|遊ぶ。 ②다음으로 수식어 바로 뒤에 있는 문절에 착안해서 그것이 피수식어라고 해서 의미가 통하는지 아닌지를 확인을 해야 합니다. 公園で 修飾語 |小さな被修飾語?|子どもが|遊ぶ。→✖ 공원에서 수식어 | 작은 피수식어? | 어린이가 | 논다.→✖ ③ 의미가 통하지 않는 것 같으면 그 뒤에 있는 문절에서 동일하게 확인해 보겠습니다. 公園で 修飾語 |小さな|子どもが被修飾語?|遊ぶ。→✖ 공원에서 수식어 | 작은 | 어린이가 피수식어? | 놀다. →✖ 피수식어가 발견될 때까지 ②③을 반복하세요. 公園で 修飾語 |小さな|子どもが|遊ぶ。被修飾語?→○ 공원에서 수식어 | 작은 | 어린이가 | 논다.피수식어?→○ |
위의 예문에서는, 주어 「花びらが」 와 술어 「舞う」가 각각 수식어 「サクラの」「ちらちらと」에 의해서 설명되고 있습니다.
즉, 「花びらが」「舞う」 라는 문절은 각각 주어와 서술어인 동시에 피수식어이기도 합니다.
これは、とても 수식어 すばらしい 피수식어/수식어 本だ 피수식어。
이 글에서는 「とても」의 문절이 「すばらしい」 의 문절을 수식해주고 있고, 「すばらしい」 의 문절이 「本だ」의 문절을 수식해주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때 「すばらしい」의 문절은 「本だ」 를 설명해주는 수식어인 동시에 「とても」를 통해서 설명이 되는 피수식어이기도 합니다.
이때는 주어와 서술어만 피수식어가 되는 것이 아니고 어떤 문절이 수식어인지 피수식어인지는 다른 문절과의 관계로 결정됩니다.
3 연체 수식어와 연용 수식어
① きれいな 花が 咲く。 예쁜 꽃이 피다.
② 花が きれいに 咲く。꽃이 예쁘게 피다.
예문① 에서는 「きれいな」 의문절은 「花が」 의문절을수식하고있습니다.
예문② 에서는 「きれいに」 문절은 「咲く」 의문절을꾸며주고있습니다.
후에 공부하게 됩니다만, 단어에는 체언·용언이라고 불리는 것이 있습니다.
쉽게 말해서 체언이란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말이고 용언이란 동작이나 상태 등을 나타내는 말을 말합니다.
「花」 이라는 단어는 체언이고요, 「咲く」 라는 단어는 용언입니다.
「花が」 에 걸리는 「きれいな」과 같이, 체언을 포함한 문절에 걸리는 수식어를 연체 수식어라고 부릅니다.
또, 「咲く」에 걸리는 「きれいに」 와 같이, 용언을 포함한 문절에 걸리는 수식어를 연용하는 수식어라고 부릅니다.
이렇게 수식어라고 하는 것은 연체수식어와 연용수식어, 이렇게 두 종류가 있습니다.
'초보를 위한 일본어 문법 > 일본어 공부를 한다면 이건 알아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성어 모듬 3탄 _ [기력] [즐거움] (0) | 2020.10.22 |
---|---|
문절의 작용 (3) 접속어·독립어 (0) | 2020.10.22 |
문절의 작용(1) 주어·서술어 (0) | 2020.10.15 |
일본어 _ 말의 단위 (0) | 2020.10.13 |
의성어 모음 2탄 _ 앉다, 넘어지다, 움직이다 (0) | 2020.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