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品詞の分類 ① 品詞ひんし 품사의 분류란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의해 분류한 것이다. ② 품사에는 動詞どうし_동사·形容詞けいようし_형용사·形容動詞けいようどうし_형용동사· 名詞めいし명사·副詞ふくし_부사·連体詞れんたいし_연대사·接続詞せつぞくし_접속사·感動詞かんどうし_감동사·助動詞じょどうし_조동사·助詞じょし_조사의 10종류가 있다. ③품사분류표는 품사의 분류를 표로 정리한 것이다. ■ 品詞の転成 품사의 전성 품사의 전성이란 어떤 품사의 단어가 다른 품사가 되는 것을 말한다. |
1. 품사의 분류
먼저, 자립어와 부속어로 구분을 할 수가 있어요.(단어의 분류(1) 자립어와 부속어 참조)
게다가 자립어와 부속어는 각각 활용이 있는 말과 활용이 없는 말로 구별을 할 수가 있습니다. (단어 분류 (2) 단어 활용 참조)

*自立語 - 자립어 *活用がある-활용이 있다
*付属語- 부속어 *活用がない語-활용이 없는 말
이렇게해서 단어들은 활용이 어떠한 자립어와 활용이 없는 자립어, 활용이 어떠한 부속어와 활용이 없는 부속어 이렇게네가지 그룹으로 분류를 합니다.
그리고 거기에서 다시 몇 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어요.
(1) 활용이 있는 자립어 →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자립어에서 활용이 있는 단어는, 그 기본형(사전 표제의 형태)에 따라서 세 개의 그룹으로 분류됩니다.
「書く」「読む」 처럼 단어의 기본형이 오십음도의 「ウ」단 음원으로 끝나는 그룹을 동사라고 합니다.
「楽しい」「多い」 등과 같이 단어의 기본형이 「い」 로 끝나는 그룹을 형용사라고 해요.
「おだやかだ」「元気だ」 등과 같이 단어의 기본형이 「だ」 로 끝나는 그룹을 형용동사라고 해요.
이 세 가지 그룹,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를 묶어서 用言ようげん_ 용언이라고 합니다.
용언에는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가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용언의 분별법을 정리해 두겠습니다.
용언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단어의 기본형 끝에 주목한다. ① 「ウ」 단 소리로 끝난다 →동사 ②「い」로 끝나다. →형용사 ③「だ」 로 끝나다 →형용동사 |
(2) 활용이 없는 자립어→ 명사 부사 연대사 접속사 감동사
자립어에서 활용하지 않는 단어는 그것이 만드는 문절의 기능에 따라 다섯 개의 그룹으로 분류됩니다.
「人間」「わたし」「富士山」 등과 같이, 주로 主語주어가 되는 그룹을 명사라고 합니다. 용언에 대해서 체언이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とても」「すぐ」「まるで」 등과 같이, 주로 連用修飾語연용 수식어(용언을 수식하는 문절)가 되는 그룹을 부사라고 합니다.
「あの」「大きな」「たいした」 등과 같이, 連体修飾語연체 수식어(체언을 수식하는 문절)가 되는 그룹을 연체사라고 합니다.
「そして」「だから」「しかし」 처럼 接続語접속어가 되는 그룹을 접속사라고 해요.
「ああ」「はい」「こんにちは」 처럼 独立語독립어로 되는 그런 그룹을 감동사라고 합니다.
명사(체언)가 만드는 문절은 주어가 될 수가 있지만 부사,연대사,접속사,감동사가 만드는 문절은 주어가 될 수가 없습니다.
(3) 부속어 → 조동사, 조사
부속어 중에서 活用がある 활용이 있는 것들은 조동사, 活用がない 활용이 없는 것들은 조사라는 그룹이 되는데요.
활용이 있는 단어는 자립어(용언) 만이 아님을 주의하세요.
*
이상과 같이 해서 단어를 문법상의 성질에 의해서 분류해 가면 최종적으로는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명사, 부사, 연대사, 접속사, 감동사, 조동사, 조사의 10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이렇게문법상성질에따라서10가지로분류된단어의그룹을품사라고부릅니다.
단어가 품사로 분류될 때까지의 상태를 표의 형태로 해 정리한 것이 다음의 품사 분류표입니다.이 표를 꼭 외우세요.

*動詞どうし - 동사
*形容詞けいようし-형용사
*形容動詞けいようどうし- 형용동사
*名詞めいし- 명사
*副詞ふくし- 부사
*連体詞れんたいし- 연대사
*接続詞せつぞくし- 접속사
*感動詞かんどうし- 감동사
*助動詞じょどうし- 조동사
*助詞じょ- 조사
2. 품사의 전성
① 恋に 悩み、苦しむ。사랑으로고민하고고통한다.
② 恋の 悩みで 苦しむ。 사랑의 고민으로 괴로워하다.
두 예문의 빨간 부분은 모두 같은 형태의 단어예요.
그런데 예문 ①번 「悩み」과 예문 ②번 「悩み」은 각각 품사가 달라요.
예문 첫 번째「悩み」 의 품사는요, 동사예요.
이에 비해 두 번째 예문, 「悩み」 의 품사는요, 명사예요.
명사에 나오는 「悩み」 라는 단어는 동사의 「悩み」 (의 연용형) 이 그대로의 형태로 명사가 된 것입니다.
이와 같이, 어느 품사의 단어가 다른 품사로 전하는 것을 품사의 転成てんせい 전성이라고 합니다.
품사의 전성으로 많은 것은, 동사나 형용사의 연용형이 명사가 되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光(ひかり)」 이라고 하는 명사는, 동사 「光(ひか)る」 의 연용형 「 光り」 으로부터 전성 한 것이며, 또, 「近く」 라고 하는 명사는, 형용사 「近い」 의 연용형으로부터 전성 한 것입니다. 그 외에도 다른 품사에서 부사어나 접속사, 감동사로 전성한 말도 있는데요. 부사의 「あまり」「つゆ」「ゆめ」 , 접속사의 および」「また」「けれども」、감동사의 「あれ」「よし」「おはよう」 등. 특히 접속사의 대부분은 다른 품사로부터 전성된것입니다. 덧붙여 이상과 같이 어의 형태가 변하지 않고 품사가 변하는 경우 뿐만이 아니라, 「春」→「春めく・春っぽい」 「苦しい」→「苦しさ・苦しみ」 과 같이, 원래의 단어에 접미사가 붙어 품사가 변하는 경우도 품사의 전성으로서 취급하는 일이 있습니다. |
'초보를 위한 일본어 문법 > 일본어 공부를 한다면 이건 알아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합어·파생어 (0) | 2020.11.10 |
---|---|
지시어(こそあど言葉) (0) | 2020.11.05 |
단어의 분류 (2)단어의 활용 (0) | 2020.10.30 |
단어의 분류(1) 자립어와 부속어 (0) | 2020.10.27 |
의성어 모듬 3탄 _ [기력] [즐거움] (0) | 2020.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