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複合語 복합어
複合語ふくごうご 복합어는 둘 이상의 단어가 합쳐져 생긴 단어를 말한다.

■ 派生語 파생어
派生語はせいご 파생어는 단어에 접두어 또는 접미어가 붙어서 생긴 말을 말한다.

① 接頭語せっとうご 접두어  …다른 말 앞에 붙어서 단어를 만들다.

② 接尾語せつびご  접미어  …다른 낱말 뒤에 붙어서 단어를 만들다.

 

 


1 복합어

春風 食べ物 弱気          봄바람 음식 무기력함

巣立つ 歩き回る 近寄る  둥지를 뜨다, 돌아다니다 접근하다

青白い 粘り強い 暑苦しい  창백함 끈덕진 무더움

 

 


①, ②, ③예시의 어군은 각각 명사, 동사, 형용사입니다.

①의 「春風」  「春」 「風」이라는 단어가 합쳐져서 나온 말이에요.

②의 「巣立つ」는 「巣」 「立つ」가 합쳐진 말이고,

③의 「青白い」 「青」「白い」이 합쳐진 말입니다.

 

이렇게 두 개 이상의 단어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말을 複合語ふくごうご 복합어라고 부릅니다.

복합어는 문법상 그래서 하나의 단어입니다.

 

복합어는그품사에따라서복합명사,복합동사,복합형용사등으로분류를할수가있는데요.복합어의 품사는, 뒤에 오는 단어(형태소)의 품사에 의해서 정해집니다.

 

(1) 복합명사

 

복합명사는,  두개이상의단어가합쳐있는명사예요.복합명사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다양합니다.

 

① 명사+명사

朝+日 → 朝日
아침+일 → 아침 햇살

三日+月 → 三日月みかづき
초승달 + 월 → 초승달 

柱+時計 → 柱時計
기둥+시계 → 벽시계

② 동사+명사

借りる+物 → 借り物
빌리다+물건→빌리다

消す+ゴム → 消しゴム
지우다 + 고무 → 지우개

③ 형용사+명사

安い+値 → 安値
싸다+값→싸다

浅い+瀬 → 浅瀬あさせ
얕은 + 여울 → 얕은 여울 

④ 뒤의 품사가 전성되어 명사가 된 것

物(名詞)+語る(動詞)→ 物語
사물(명사)+말하다(동사)→이야기

押す(動詞)+入れる(動詞)→ 押入れ
누르다(동사)+넣다(동사)→벽장

遠い(形容詞)+回る(動詞)→ 遠回 とおまわり
멀다(형용사)+돌다(동사)→원회

手(名詞)+短い(形容詞)→ 手短てみじか
손(명사)+짧다(형용사)→짧은단

切れる(動詞)+長い(形容詞)→ 切れ長
잘리다(동사)+길다(형용사)→잘라짐

遠い(形容詞)+浅い(形容詞)→ 遠浅
멀다(형용사)+ 얕다(형용사)→멀고 얕음(형용사)

 

같은 말을 겹친 복합어를 특히 '첩어'라고 부릅니다.

 

 

人人  家家  木木

 

이러한 말은, 보통 「人々」 사람들 「家々」 집들 「木々」 나무들 라고 써 나타냅니다만, 「々」 은 동의 자점으로 불리는 기호의 일종입니다.

 

 

 

 

(2) 복합 동사

 

복합동사는 두 개 이상의 단어가 합쳐져 있는 동사인데요.

 

① 명사+동사

旅+立つ → 旅立つ
여행+일어서다→떠나다

勉強+する → 勉強する
공부+하다→공부하다

② 동사+동사

見る+送る → 見送る
보다+보내다→전송하다

切る+開く → 切り開く
자르다+열다→절개해서 열다

③ 형용사+동사

若い+返る → 若返る
젊다+돌아오다→젊어지다

遠い+退(の)く → 遠のく
멀다+물러나다(의) 멀어지다

「する」 라는 동사와 합쳐진 복합어는 사행변격 활용을 하는 동사가 됩니다.

 

 

 

(3) 복합형용사

 

복합형용사는 둘 이상의 단어가 합쳐져서 생긴 형용사예요.

 

①명사+형용사

毛+深い → 毛深い
털+깊다→털이 많다

目+新しい → 目新しい
눈+새롭다→새롭다,신기하다

② 동사+형용사

蒸す+暑い → 蒸し暑い
찌다+덥다 → 무덥다

恐れる+多い → 恐れ多い
두려워하다+많다→ 황공하다/송구하다

③ 형용사+형용사

細い+長い → 細長い
가늘다 + 길다 → 길고 가늘다

堅かたい+苦しい → 堅苦しい
단단하다+고통하다 →딱딱하다

같은 형용사를 겹치는 것도 있습니다.

 

軽軽しい경솔하다/경망스럽다  弱弱しい약하디 약하다  若若しい젊디젊다/ 싱싱하다

 

 

 

 

 

2. 파생어

① 茶 子ども 重 静か

② さし出す 春めく うれしがる

③ 弱い 子どもらしい 喜ばしい

④ 元気だ 文化だ 苦労さま

 

 

①, ②, ③, ④는 각각 명사,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의 어군입니다.

 

「お茶」나 「さし出す」 는, 각각 「茶」「出す」 라고 하는 단어앞에 「お」「さし」라고 하는 말이 붙은 단어입니다.

또, 「子ども」와 '「春めく」이라는 단어 뒤에 「子」「春」 이라는 단어 뒤에 「ども」「めく」 라는 말이 붙어서 붙여진 말입니다.

 

이와 같이, 그 자체는 독립적으로 단어가 되지 않고, 항상 다른 단어(어기)와 합쳐져서 말을 형성하는 말을 接辞せつじ 접사라고 부릅니다.

 

접사 가운데, 「お」「さし」와 같이 단어의 앞에 붙는 것을 접두어 라고 부르고, 

「ども」「めく」 와 같이 단어의 뒤에 붙는 것을 접미어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お茶」「子ども」와 같이 단어에 접사가 붙어 만들어진 말을 파생어라 부릅니다. 

파생어는그래서문법상하나의단어가되는데요.

 

 

즉,단어끼리합쳐서다른단어로된것이복합어이고,

단어에단어가아닌어가결합되서생긴어가파생어입니다.

 

파생어를 만드는 접사(접두어, 접미어)는 다양합니다.어떤접사가있는지를품사별로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1) 파생어의 명사

 

① 접두어가 붙은 것

米  飯  仏  雪  心  

それぞれ、「御米」_ 쌀 「御飯」_ 밥 「御仏」_ 부처 「深雪」_ 깊은 눈 「真心」_ 진심 「素顔」_ 맨얼굴  이라고 한자로 서로 쓰는 경우도 자주 있습니다.
② 접미어가 붙은 것

ぼくたち(達)  われ(等)  男ども(共)

安倍さま(様)  麻生くん(君)  小泉さん  カンナちゃん

二人(目)  泥だらけ

たち」「ども」 는 여러 사람을 나타내는 접미어입니다.
「こども(子供)」「ともだち(友達)」 라고 하는 말도, 원래 복수인을 나타내는 말이었지만, 지금은 한 사람을 의미할 때에도 이러한 말을 사용합니다.

복수인 뜻을 분명히 하고 싶을 때는, 「こどもたち」「こどもら」「ともだちたち」「ともだちども」등으로 표현하면 좋을 것입니다.


아래의 예는 형용사,형용동사의 어간에 접미어가 붙어서 명사가 된것입니다.

  ほし  深み  苦し

静か  厳格


(2) 파생어 동사

 

① 접두어가 붙은 것

とり調べる さし出す  うち明ける  ひき締める
조사하다       내밀다        밝히다           죄다 

かき分ける  迷う  なびく
좌우로            헤매다      가로 길게 뻗치다
밀어해치다

전반의 접두어는, 한자로 나타내면, 「取り調べる(取調べる)」_ 조사하다 「差し出す(差出す)」_ 내밀다 「打ち明ける(打明ける)」_ 밝히다 「引き締める(引締める)」_ 단단히 죄다 가 됩니다.

접미어가 붙은 것

芝居がかる  上品ぶる  黄ばむ  春めく
연극같다         점잔을 빼다?   노래지다   봄 다워지다

やぐ  うれしがる  早める  高まる
화려하고       기뻐다하      예정보다    높아지다.
아름답게 되다                이르게 하다


명사나형용사였던단어에 「がかる」「がる」와같은접미어가붙어서동사가되어있습니다.

(3) 파생어의 형용사

 

① 접두어가 붙은 것

めでたい  うら悲しい  弱い  (小)高い

(素)速い  (図)太い  そら(空)恐ろしい  たやすい

(手)堅い  なま(生)暖かい  (真)新しい  もの(物)すごい

접미어가 붙은 것

아래의 예는요, 명사에 접미어가 붙어서 형용사가 된 것입니다.

馬鹿らしい  子供っぽい  丸っこい  涙ぐましい

自慢たらしい  未練がましい  情けない

아래의예는 동사에 접미어가 붙어서 형용사가 된건데요.

忘れがたい(難い)  読みやすい  歩きにくい  

食べづらい  怒りっぽい  晴れがましい  飽きたりない

아래의 예는 형용사의 어간에 접미어가 붙어서 형용사가 된 것입니다.

たい  荒っぽい  せわしない

めかしい  かわいらしい  憎たらしい

(4) 파생어 형용동사

 

元気だ  立派だ  気の毒さま(様)だ

苦労さま(様)だ  (小)ぎれいだ

 

 

「お気の毒さまだ」「ご苦労さまだ」 는 접두어와 접미어 모두 함께 붙어 있다는 점에 주의를 하도록 합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