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승인과 관계없이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하고 있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 폐렴) 백신에 대한 심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권준욱 제2본부장은 15일 정례 브리핑에서 FDA는 미국 기관이며 한국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심사를 거친다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FDA 승인 여부와 상관없이 한국 절차에 따라 (심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백신을 확보하는 데 다른 (국가) 상황이 한국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에 면밀히 대비해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FDA 승인 지연으로 국내 백신 도입도 늦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자 내놓은 입장이다.
이에 앞서 정부는 백신의 세계적 조달체계인 COVAX facility를 통해 1000인분, 글로벌 제약회사들과 개별협상을 통해 3400만명분 등 총 4400만명분의 백신을 확보해 내년 13월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선구매계약협약을 맺은 제약사는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존슨앤드존슨-얀센, 모델나 등 모두 4개이며 이 중 정부가 선구매계약을 완료한 유일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에이드리언 힐 젠너 연구소장은 9일(현지 시간) FDA가 임상시험 종료를 기다리면 2021년 중반은 돼야 미국에서 백신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권준욱 제2본부장은 이날 화이자 백신의 물량 부족에 따른 공급 부족 우려에 대해서도 답했다.화이자가 2021년 공급하는 12억 회분에 국내 물량 2000만 회분이 포함돼 있어 한국 정부가 확보한 백신 4400만 명분의 도입에는 지장이 없다는 설명이다.
'일본 뉴스에 나오는 한국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뉴스의 한국소식_현대차, 2022년 일본시장 재도전? (0) | 2020.12.21 |
---|---|
일본뉴스의 한국소식_ 보아가 검찰소환 소속사 향정신약 졸피뎀 밀수 없는 일본지사 종업원 무지 탓 (0) | 2020.12.18 |
일본뉴스의 한국소식_ Nizi U의 한국 데뷔에 3개의 벽이 궁금한 J.Y.Park의 목적은 (0) | 2020.12.16 |
일본뉴스의 한국소식_ 무너진 'K방역' … 이젠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이 방역 사령탑 (0) | 2020.12.14 |
일본뉴스의 한국소식_ 한국야당 "K방역" 자화자찬했지만 방역백신 대실패" (0) | 2020.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