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형용사의 활용과 활용형

형용사 활용의 방법은 다음 1종류뿐이다.

형용사의 활용형에는 명령형이 없다.

연용형이 음변의 형태(ウ음변)가 되는 경우가 있다.

■ 형용사 활용형 주요 용법

미연형은, 조동사 「う」 에 연결된다.

연용형인 「―かっ」 는 조동사 「た」 나 조사 「たり」 에 이어진다.

연용형 「―く」 는,

① 용언( 「なる」「ない」 등)과 관련된다.

② 조사 「て」「は」 에 연결된다.

③ 중지법에 이용한다.

종지형은, 그 말로 문장이 끝날(단언) 때에 이용한다.

연체형은 체언에 이어진다.

가정형은 조사 「ば」 에 이어진다.

어간만의 용법도 있다.

 

 

 


1. 형용사의 활용과 활용형

 

おいし かろ う  (未然形)

おいし かっ た  (連用形)

おいし  なる  (連用形)

おいし い 。   (終止形)

おいし い とき  (連体形)

おいし けれ ば  (仮定形)

 

 

굵은 글씨로 된 「おいし」 이 어간이며, 빨간색 부분이 활용어미입니다.

「おいしい」 에 한하지 않고 형용사로 분류되는 단어는 모두 그 활용어미가 「かろ・かっ・く・い・い・けれ」 가 됩니다.즉, 형용사 활용 방법은 1종류뿐입니다.

덧붙여 형용사의 활용형은, 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대형·가정형의 5개이며, 명령형은 없습니다.

 

 

 

***************************************************************************************************************************

 

형용사 활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형 어간 未然形
미연형
連用形
연용형
終止形
종지형
連体形
연체형
仮定形
가정형
命令形
명령형
よ い かろ

かっ

けれ
恋しい 恋し
用法_용법

ナイ・ナル

言い切る トキ

 

 

 

연용형이 두 개 있다는 점과 명령형이 없다는 점에 주의합시다.

 

 

위의 표에는 형용사 어례가 두 가지가 있는데요.현대에 와서는, 이것들은 같은 활용을 하는 단어로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よい」「恋しい」 의 옛말인 「よし」「恋し」 에서는, 각각의 활용 방법이 달랐습니다.

 

****************************************************************************************************************

 

5단 활용의 동사의 연용형에 음변(발음의 변화)이 있는 것을 배웠습니다만, 형용사의 연용형에도 음변이 있습니다.예를들어볼까요?

 

 

● お暑  ございます (← お暑 

● おめで とう ございます (← おめで たく

● うれ しゅう 存じます (← うれ しく

 

 

앞에 빨간 글씨가 바뀌고 난 뒤의 발음으로 괄호 안에 파란 글씨가 바뀌기 전의 발음입니다.

 

형용사의 연용형 「―く」 가 「ございます」「存じます」 에 이어지는 것에 의해서, 연용형 「―く」 의 활용 어미가 「う」로 변화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음변을 우음변이라고 해요.

 

 

「おめでとう」 나 「うれしゅう」 처럼 연용형의 활용어미뿐만 아니라 어간의 일부도 발음이 변화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형용사에 「ございます」 가 붙을 때는 반드시 음변의 형태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의해 주세요.

「うれしく存じます」 라고 해도 틀리지 않습니다.

 

 

 

 

2.  형용사 활용형의 용법

 

형용사에는, 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대형·가정형의 다섯 개의 활용형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형용사 활용형의 용법은 다양한데 여기서는 각각의 활용형의 용법 중 대표적인 것만을 언급합니다.또한 형용사에는 어간만의 용법도 있습니다.

 

(1) 未然形 미연형

 

 

● 青森の冬は 寒かろ  。 (「寒い」の未然形) 

 

이와 같이 형용사의 미연형은 조동사 「う」 에 연결될 때 사용됩니다.동사와 달리, 「う」 에 이어지는 용법 밖에 없습니다. 

 

 

 

(2) 連用形  연용형

 

형용사 연용형에는 「―かっ」 과 「―く」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각각 용법이 다릅니다.

다음 각 예문의 적자말은 모두 형용사 연용형인 「―かっ」 입니다.

 

● 今年の夏は 暑かっ  。 (「暑い」の連用形)

● 暑かっ たり 、 寒かっ たり の陽気になる。 (「暑い」「寒い」の連用形)

 

 

이렇게 「―かっ」 의 형태는 조동사 「た」 와 조사 「たり」 에 연관이 됩니다.

 

***************************************************************************************************************

 

다음 각 예문의 적자말은 모두 형용사 연용형 「―く」 입니다. 

 

【A】 今年の冬は 寒く なるない) 。 (「寒い」の連用形)

【B】 安く  おいしい。 安く  ない。 (「安い」の連用形)

【C】 このサイトは おもしろく 、とても勉強になる。 (「おもしろい」の連用形)

 

 

먼저  「―く」 의 형태는 동사의 「なる」 와 형용사의 「ない」 와 같은 용언과 연결됩니다

(예문 A).「 すごく 快適だ 」 와 같은 형용동사로도 연결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く」 의 형태는 조사인 「て」 나 「は」 등에도 연결됩니다(예문 B).

마지막으로 형용사 연용형에도 중지법의 용법이 있으며, 「―かっ」 의 형태가 아닌 「―く」 의 형태가 사용됩니다

(예문 C).중지법이란 연용형에 따라 글을 일단 중지한 후에 다시 이어가는 식의 표현 방법입니다. 

 

 

동사와 형용사마다 「ない」 가 붙는 활용형이 다르다는 것에 유의해야 합니다.
동사일 경우에는 미연형에 「ない」 가 오는데 형용사의 경우에는 연용형에 「ない」 가 붙습니다.
덧붙여서, 동사의 미연형에 붙는 「ない」는 조동사이고, 형용사의 연용형에 붙는 「ない」는 형용사(보조 형용사)입니다. 

 

 

(3) 終止形 종지형

 

● 今年の冬は 寒い 。 (「寒い」の終止形)

 

예문처럼 형용사의 종지형은 그 말로 문장이 끝날 때(言い切る) 사용됩니다.

 

형용사의 종지형은 형용사의 기본형이고 국어사전의 단어 표제어로 사용되는 형입니다. 

 

종지형의 용법은 글을 단언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아요.형용사의 종지형에는요, 조동사나 조사에 이어지는 용법도 있습니다.다음 예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 明日は 寒い そうだ( らしい )。 (「寒い」の終止形)

● この店は 安い と 評判だ。 (「安い」の終止形) 

 

(4) 連体形 연체형 

 

 

● 寒い  がきた。 (「寒い」の連体形)

 

 

이와 같이 형용사 연체형은 名詞(体言) 명사(체언)에 연결될 때 사용됩니다. 

 

 

형용사의 연체형에는, 체언에 잇따르는 용법 외에, 조동사 「ようだ」나 조사 「の」 등에 이어지는 용법도 있습니다.다음 예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 彼は つらい ようだ 。 (「つらい」の連体形)

● 痛い の を我慢する。 (「痛い」の連体形)

 

 

(5) 仮定形 가정형

 

● 治療は、早けれ  早いほどよい。 (「早い」の仮定形)

 

 

예문처럼 형용사의  가정형은 조사 「ば」 에연결됩니다.

 

 

 

(6) 語幹の用法 어간 용법

 

형용사에는 어간만의 용법도 있습니다.

 

 

【A】 おお、 。 (「寒い」の語幹)

【B】 本当に  そうだ 。 (「痛い」の語幹)

 

 

예문 A 같은 경우는 「寒い」 의 어간 「寒」 으로 문장이 끝났습니다.이렇게 형용사의 어간에는 단독으로 서술어가 되는 용법들이 있는데요.

또, 예문 B에서는, 「痛い」 의 어간 「痛」 이 조동사 「そうだ」 에 직접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때 「そうだ」 는 양태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형용사의 어간에 접속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