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형용사의 성질

형용사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①자립어로, 활용이 있다.

②단언의 형태가 「い」로 끝난다.

③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 있다.

■  형용사의 기능

형용사는 문중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

①서술어(「どんなだ」의 문절)가 된다.

수식어(연대 수식어·연용 수식어)가 된다.

③ 주어가 된다(「のが」「のは」「のも」등이 붙는다).

④ 접속어가 된다(접속 조사가 붙는다).

 

 

 


 

 

1. 형용사의 성질

 

형용사 는사물의성질,상태를나타내는단어입니다.예를들어볼까요?

 

 

● 線が 太い 。(性質).(성질)   お腹が 太る 。(作用) (작용)

● 心が 悲しい 。(状態) (상태)   親が 悲しむ 。(動作)(동작)

 

 

빨간 단어 「太い」「悲しい」 가 형용사이고, 파란 단어「太る」「悲しむ」 가 동사입니다.

 

.동사가 「どうする」「どうなる」 라고 하는 동작·작용을 나타내는 것에 비해, 형용사는「どんなだ」 라고 하는 성질·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형용사는 용언의 하나이며, 같은 용언인 동사나 형용동사와 그 성질이나 기능이 매우 비슷합니다.형용사의 성질에 대해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품사 분류표」를 보고 확인하면 알기 쉬울 것입니다. 

 

 

(1) 자립어로, 활용이 있다

 

형용사는 자립어입니다. 즉 단독으로 문절을 만들 수 있는 단어입니다.조동사나 조사 같은 부속어가 형용사 뒤에 붙어서 하나의 문절을 만들기도 합니다.

그리고 형용사는 활용이 있는 단어입니다. 즉, 글에서 어떻게 쓰이느냐에 따라서 단어 형태가 달라집니다.예를들어아름답다라는형용사를활용시켜보면다음과같습니다.

 

 

月が 美しい 。

月が 美しかろ う。

月が 美しかっ た。

月が 美しく ない。

月が 美しい とき

月が 美しけれ 

 

형용사로 분류되는 단어는 동사와 달리 모두 똑같이 활용합니다.각 활용형의 용법도 동사와 다릅니다.

 

 

(2) 단언의 모양이 「い」로 끝나다.

 

 

(例)大き   熱   赤   さみし   激し 

 

 

위에 나열된 단어는 모두 형용사입니다.각 단어의 끝(파란색 글씨 부분)에 주목해 주세요.모두 「い」로 끝났습니다.

이렇게 형용사는 잘라 말할 때 모양이 「い」로 끝납니다.이것은, 위의 예에 든 단어 이외의 형용사에 대해서도 해당됩니다.

무엇보다, 형용사는 그 형태가 변화하기(活用する)때문에, 문중에서는 반드시 「い」로 끝나는 형태가 된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여기에서는, 국어 사전의 표제가 되는 형태(단언의 형태)가 「い」가 되는 것에 주의해 주세요.

 

동사,형용사,형용동사는 모두 자립어이며 활용이 있는 단어이고 또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가 있습니다.
단지, 동사·형용사·형용동사는, 각각 단언의 형태가 다릅니다.
즉, 동사는 우단음, 형용사는 「い」 , 형용동사는 「だ」로 끝난다고 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3) 단독으로 술어가 될 수 있다.

 

 

 

お店で食べる料理は おいしい 

気温が 高く 、湿気が 多い 

 

각 예문의 적자 부분은 모두 형용사 한 단어로 이루어진 문절입니다.형용사가 그것만으로, 「なにが―どんなだ」

라고 하는 문형의 「どんなだ」 에 해당하는 문절(서술어)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렇게 형용사는 다른 말을 붙이지 않고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 있는 단어인데요.

그래서 명사 등 용언 이외의 품사도 서술어가 될 수는 있는데 이때는 단독이 아닌 부속어를 동반하는 그런 문절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2. 형용사의 작용

 

 

(1) 술어가 되다 

 

この猫が一番 かわいい 。

この本は、あまり おもしろく なかっ  。

 

 

위의 두 가지 예문은 모두 「なにが―どんなだ」 의 문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猫が」「本は」 이 「なにが」에 해당하는 문절(주어)이며, 「かわいい」「おもしろくなかった」 「どんなだ」 에 해당하는 문절(서술어)입니다.

 

 

 

이렇게 형용사에서는 서술어, 즉「なにが―どんなだ」 의문형의 「どんなだ」 에해당하는문절을만드는기능이있는데요. 

 

 

이 경우에는 형용사가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부속어(조동사, 조사)가 붙습니다.

 

 

(2) 수식어가 되다

 

【A】激しい 雨が降る。 (連体修飾語)

【B】激しかっ  雨が止んだ。 (連体修飾語)

【C】雨が 激しく 降る。 (連用修飾語)

【D】雨はそれほど 激しく  降らない。 (連用修飾語)

 

 

 

각각의예문의적자말은,모두형용사 「激しい」 가활용하는형태입니다.

 

예문 A에서 「激しい」 는 「雨」 라는 명사(체언)에 달려 있습니다.

예문 B의 「激しかっ」 라는 것도 부속어 「た」 가 붙으면서 「雨」가 붙었습니다.

A의 격렬함과 B의 격렬함은 모두 연체 수식어입니다.

 

 

예문 C의 「激しく」 는, 그것 단독으로 「降る」 라고 하는 동사(용언)에 걸려 있습니다.

예문D의 「激しく」 는 부속어 「は」를따라서 「降ら(降る)」 에붙여있습니다

 

즉, C와 D의 '격렬하게'는 연용 수식어입니다.

 

 

이와 같이, 형용사는, 연체 수식어(체언을 수식)나 연용 수식어(용언을 수식)가 될 수 있습니다.어떤 경우든 부속어를 붙이거나 단독으로 수식어가 되기도 합니다.

 

다만 동사와 달리 형용사는 단독으로 연용수식어가 될 수가 있다,라고 하는 것을 주의하시면 되겠습니다.동사는 단독으로 연용 수식어가 될 수가 없습니다.

 

 

(3) 주어가 되다

 

青い のが ほしい。

辛い のは 好みでない。

 

「青いのが」 라고 하는 문절은 형용사 「青い」 에 조사 「の」 「が」 가 붙어서 나온 것입니다.그리고

「辛いのは」 이라고 하는 문절은 형용사 「辛い」 에 조사 「の」와「は」 가 붙어서 나온 것입니다.

두 문장 모두 문중에서 주어의 작용을 합니다.

 

 

이렇게 형용사는 주어가 되기도 하는데요.이 경우, 주어의 문절은, 형용사(연대형)에 「…のが」「…のは」「…のも」 등이 붙는 형태가 됩니다.

 

 

(4) 접속어가 되다 

 

室内が 暖かい ので 、冬でも快適だ。

 

「暖かいので」 는 형용사 「暖かい」 에 접속 조사 기 때문에가 붙은 문장입니다.이 문절은요, 문장 내에서 접속어의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형용사는접속조사를함께해서접속어문절을만들수도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