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조동사의 성질

조동사는 부속어에서 활용이 되는 단어이다.

① 부속어付属語   … 반드시 다른 단어 뒤에 붙는다.

② 활용이 있는 단어 … 문중에서의 용법에 따라 형태가 변화한다.

■ 조동사의 작용

조동사는 여러 가지 단어에 대해 여러 의미를 덧붙이는 작용을 한다.

■ 조동사의 3요소

조동사의 의미·활용·접속을 정리하여 조동사의 3요소라고 한다.

 

1. 조동사의 성질

 

(1) 조동사는 부속어이다

부속어란 그것만으로는 문절을 만들 수가 없고 반드시 다른 어 뒤에 이어서 사용되는 단어를 말합니다.

조동사도이부속어의동료이기때문에반드시다른어뒤에이어서사용이됩니다.

다음 예의 적자부분이 조동사예요.

 

食べ自立語 られる付属語

起き自立語 ない属語

飲み自立語 たい付属語

来る自立語 らしい付属語

 

******************************************************************************************************************************

 

조동사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어의 뒤에 붙는가는 각각의 조동사에 따라서 다릅니다.

예를 들어 「よう」 라고 하는 조동사는 동사 등의 미연형에 붙고 「です」 라고 하는 조동사는 명사 등에 붙으면 정해져 있습니다.

어떤 조동사가 어떠한 품사나 활용형의 어에 붙는지는, 하나하나의 조동사 마다 외우는 수밖에 없습니다.

덧붙여 조동사가 붙는 것은 동사나 명사등의 자립어뿐인 것은 아닙니다.부속어, 즉 다른 조동사나 조사에 붙는 경우도 있는데요.


 

勉強し動詞  よう助動詞

秋田犬名詞  です助動詞

動詞 ない助動詞 だろ動詞 助動詞

見る動詞 だけ 助詞  です助動詞

 

 

(2) 조동사는 활용이 있는 단어이다

 

조동사는 문중에서의 용법(문이 거기서 끊어질지 이어질지, 어떤 말이 그 뒤에 이어질지)에 따라서 그 형태가 변화합니다.즉, 조동사는 활용이 되는 단어입니다.

그리고, 조동사에도, 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대형·가정형·명령형이라고 하는 활용형이 있습니다.

 

(단어 활용에 대해서는 '단어 분류 (2)단어 활용'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

 

食べ られ ない (未然形)

食べ られ   (連用形)

食べ られる 。 (終止形)

食べ られる とき(連体形)

食べ られれ  (仮定形)

食べ られろ 。 (命令形)

 

조동사가 활용이 되는 단어이지만 모든 조동사가 똑같이 활용 방법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조동사를 어떻게 활용하는지는 각 조동사에 따라 다릅니다.

그렇다고 해도, 조동사의 활용의 방법은, 동사형이나 형용사형·형용동사형등과 같이, 몇개의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덧붙여 조동사는 활용이 있는 단어입니다만, 마찬가지로 활용이 있는 단어인 동사·형용사·형용동사와는 달리, 어간과 활용어미의 구별이 없습니다.

 

 

2 조동사의 작용

【A】花が 咲(さ)く。

【B】花が 咲かない

【C】花が 咲い

 

A문에는 조동사가 없어요.이글을기초로해서B나C의글의의미를생각해보죠.

먼저, B문장부터 보죠.

B문장은 A문장의 서술어 「咲く」 에 「ない」 라고 하는 조동사가 더해진 문인데요.

A글의 의미와 B글의 의미를 비교해 보시면서 B글은 '피다'라는 것에 대해서 그렇지 않다고 부정 부정하는 의미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조동사의 「ない」 에는, 그것이 붙는 어 또는 문장의 의미내용을 부정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다음은 C의 글입니다.

C의 문은 A의 문장의 서술어 「咲く」 에 「た」 라고 하는 조동사가 더해진 것입니다.

A문장의 의미와 C문장의 의미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A의 글처럼 단순히 「咲く」  라고 한다면 보통은 현재 혹은 미래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는 의미가 됩니다.

이에 비해서 C의 글처럼 「咲いた」 라고 하면 과거의 일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의미가 됩니다.

즉, 조동사의 「た」 에는 그것이 붙는 말 또는 문장의 의미내용이 과거의 것임을 나타내는 작용이 있습니다.

 

**************************************************************************************************************************

이상의 예로부터, 조동사에는, 동사등의 여러가지 단어에 대해, 부정행위나 과거라고 하는 여러가지 의미를 덧붙이는(덧붙이는) 기능이 있다, 라고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조동사가 어떤 의미를 지니느냐는 조동사에 따라 다릅니다.

하나의조동사가한가지의미밖에갖지않는다는것은아닙니다.둘 이상의 의미를 가진 조동사도 있는데요.

 

 

위의예에서보신것처럼조동사라고하는것은동사같은서술어를만드는기능이있는어뒤에이어서서술어를함께만드는경우가많은단어입니다.

그리고 조동사를 포함하는 서술어의 문절이 문장의 끝 문절일 때는 조동사의 의미에 따라서 문장 전체의 의미가 달라지게 됩니다.

이렇듯 조동사는 부속어이긴 하지만 글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단어입니다.

 

 

3 조동사의 3요소

앞에서 잠깐 언급해 온 것들을 정리를 해보면 조동사라는 단어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특징이 있다, 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他の語のあとに続く(接続(せつぞく)する)。

 活用がある。

 意味をそえる働きをする。

 

 

이 세 가지 특징이 하나하나의 조동사를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포인트가 됩니다.

즉 개개의 조동사마다 어떠한 의미를 가질지, 어떻게 활용할지, 어떠한 어에 접속할지를 지금부터 배워가는 것입니다.

조동사의 의미, 활용, 접속을 정리해서 조동사의 3요소라고 부릅니다.

 

조동사는 의미, 활용, 접속의 세 가지 요소에 주목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