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동사의 분류 조동사는 의미, 활용, 접속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1) 의미에 따른 분류 해설 표 '조동사의 의미에 따른 분류' 참조. (2) 활용에 의한 분류 ![]()
![]() |
1. 조동사의 의미에 따른 분류
조동사는 먼저 그 의미에 따라 분류할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ない」 않다」는 부정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이며, 이것을 「打ち消し(否定)の助動詞」 라고 부릅니다.
또 조동사의 태에는 여러가지 의미가 있는데다가 과거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이것을 과거의 조동사라고 부릅니다.
이와 같이 「ない」 를 「打ち消しの助動詞」 라고 부르거나 「た」 를 「過去の助動詞」 라고 부르는 것은 조동사의 의미에 의한 분류에 근거하는 것입니다
[표] 조동사의 의미에 따른 분류
意味 | 助動詞 | 意味 | 助動詞 |
使役 사역 | せる させる | 希望 희망 | たい たがる |
受け身 수동태 | れる られる | 過去・完了 과거·완료 | た(だ) |
可能 가능 | れる られる | 様態 양태 | そうだ |
自発 자발 | れる られる | 伝聞 전문 | そうだ |
尊敬 존경. | れる られる | 推定 추정. | ようだ らしい |
打ち消し 부정 (否定) |
ない ぬ(ん) | たとえ 가령 | ようだ |
推量 추측 | う よう まい | 丁寧 공손. | ます |
意志 의지. | う よう まい | 断定 단정 |
だ です |
2 조동사의 활용에 의한 분류
그 다음에 조동사는 그 활용 방법에 따라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조동사의 활용 방법에는 다섯 가지 종류가 있는데, 각각의 활용 방법을 하는 조동사를 분류하여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표] 조동사의 활용에 의한 분류
活用の種類 | 助動詞조동사 |
動詞型 동사형 (【―る】の形) |
せる させる れる られる たがる |
形容詞型 형용사형 (【―い】の形) |
ない たい らしい |
形容動詞型 형용 동사형 (【―だ】の形) |
そうだ ようだ だ |
特殊型 특수형 | ます です た(だ) ぬ(ん) |
無変化型 무변화형 | う よう まい |
(1) 동사형 활용
기본형이 【―る】 의 형태의 조동사 「せる」「させる」「れる」「られる」「たがる」는, 동사와 같은 활용의 방법을 합니다.
동사는 기본형이 ウ 단소리(う・く・す・…) 로 끝나는 단어인데요.
조동사에도 기본형이 우단소리로 끝나는 것이 몇개 있습니다만, 그 중 【ーる】 형태의 것이 동사와 같은 활용을 합니다.
【―る】 의 형태의 조동사는 동사형 활용이다, 라고 기억합시다.
덧붙여서, 「ます」「う」 등도 기본형이 우단 소리로 끝나 있습니다만, 이것들은 동사와는 다른 활용 방법을 합니다.
(2) 형용사형 활용
형용사는 기본형이 「い」 로 끝나는 단어예요.
조동사에도 기본형이 【―い】 의 형태의 것이 몇개 있고, 그 중 「ない」「たい」「らしい」 는, 형용사와 같은 활용의 방법을 합니다.
「まい」 도 기본형이 「い」 로 끝나지만, 이것은 형용사와는 다른 활용의 방법을 합니다
「まい」 를 제외한 【―い】 의 형태의 조동사는 형용사형 활용이다, 라고 기억합시다.
(3) 형용동사형의 활용
형용동사는 기본형이「だ」로 끝나는 단어인데요.
조동사 중 기본형이 【―だ】 의 형태인 「そうだ」「ようだ」「だ」 는, 형용동사와 같은 활용의 방법을 합니다.
【―だ】 의 형태의 조동사는 형용동사형 활용이다, 라고 기억합시다.
(4) 특수형 활용
「ます」「です」「た(だ)」「ぬ(ん)」 는, 동사·형용사·형용동사의 어느 쪽과도 다른 특수한 활용의 방법을 합니다.
특수한 활용 방법에 대해서는, 하나하나 기억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5) 무변화형 활용
「う」「よう」「まい」 는, 활용형의 구별(종지형과 연대형)은 있지만, 말의 형태가 변화하지 않습니다.
「う」「よう」「まい」 는 활용형이 모두 같은 모양을 하는 조동사이다, 라고 기억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조동사를 활용하는 방법은 먼저 형태에 주목한다. 【―る】 의 형태라면, 동사형 활용. 【―い】 의 형태라면, 형용사형 활용 (「まい」 를 제외함). 【―だ】 의 형태라면, 형용동사형 활용. |
3 조동사의 접속에 의한 분류
조동사는, 그 접속의 방법(어떠한 어나 활용형의 뒤에 이어지는가)에 의해서도 분류할 수 있습니다.
조동사의 대부분은 동사 등의 활용이 어떤 語어에 접속하는데, 접속하는 語어의 활용형이 조동사에 따라서 다릅니다.
예를 들면, 「せる」「させる」 라고 하는 조동사는 동사의 미연형에 붙습니다(미연형접속).
그 외의 조동사에 대해서도 접속 방법에 따라 분류하여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표] 조동사의 접속에 의한 분류
接続 | 助動詞 |
未然形接続 미연형접속 | せる させる れる られる ない ぬ(ん) う よう まい |
連用形接続 연용형접속 | たい たがる ます た(だ) そうだ(様態) |
終止形接続 종지형접속 | まい そうだ(伝聞) らしい |
連体形接続 연체형 접속 | ようだ |
その他の接続 기타 접속 | そうだ(様態) ようだ らしい だ です |
위 표의 굵은 조동사에 대한 보충 보충 보충 설명을 합니다. (가) 「そうだ」 는 의미에 따라 접속 방법이 다릅니다. 양태의 「そうだ」 는 활용어의 연용형 등에 붙지만 전문에서의 「そうだ」 는 활용어의 종지형입니다. (나) 「まい」 는 5단 활용 동사에는 그 종지형에 붙지만 그 외의 활용 동사에는 그 미연형에 붙습니다. (다) 「だ」「です」 의 일부 활용형은 활용어의 종지형에도 사용합니다. |
'초보를 위한 일본어 문법 > 일본어 공부를 한다면 이건 알아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동사 「せる・させる」 (0) | 2021.02.11 |
---|---|
의성어 모음 8탄_ 고뇌하다. 울다 (0) | 2021.02.10 |
조동사의 성질과 작용 (0) | 2021.02.04 |
감동사 (0) | 2021.02.02 |
의성어 모음 7탄_ 웃다, 미소짓다 (0) | 2021.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