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학생의 수학과학 학습 도달도가 최상위권인 반면 흥미나 자신감은 최하위권이라는 국제 연구 결과가 나왔다.국제교육성취도평가학회는 8일 국제수학과 교육동향조사(TIMSS) 2019 결과를 발표했다.
TIMSS는 4년마다 세계 각국의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2학년의 수학과 과학의 학습 도달도를 조사한다.이번 TIMSS 2019에는 58개국 초등학생과 39개국 중학생이 참가했다.
이번 연구에서 한국 초등학교 4학년의 학습성취도는 수학 3위, 과학 2위에 최상위권이었다.초등학교 수학은 1위 싱가포르, 2위 홍콩, 3위 한국, 4위 대만, 5위 일본 순이었다.과학은 1위 싱가포르, 2위 한국, 3위 러시아, 4위 일본, 5위 대만 순이다.한국은 처음 평가에 참여한 1995년 이후 수학은 23위, 과학은 12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중학교 2학년의 학습성취도도 수학 3위, 과학 4위로 상위권을 유지했다.중학교 수학은 싱가포르 대만 한국 일본 홍콩 순이었고 과학은 싱가포르 대만 일본 한국 러시아 순이었다.중학생도 평가에서 매번 수학은 13위, 과학은 35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처럼 한국 학생들의 점수가 높은 데 비해 각 과목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는 세계 최하위권이었다.초등학교 4학년의 수학과학에 대한 자신감은 58개국 중 57위로 필리핀 다음으로 낮았다.수학에 매우 자신이 있다고 답한 학생이 15%로 세계 평균(32%)보다 크게 적었다.흥미도 매우 낮아 수학은 57위, 과학은 53위로 최하위권이었다.수학을 매우 좋아한다는 학생은 22%로 세계 평균(45%)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중학생도 마찬가지다.수학 자신감은 39개국 중 36위, 과학 자신감은 37위에 그쳤다.수학에 매우 자신이 있다고 답한 학생은 8%에 불과했다.흥미도는 더 심각했다.수학 과학 모두 흥미도가 39개국 중 39위로 가장 낮았다.수학을 가장 좋아하는 학생은 8%로 세계 평균 20%에 크게 못 미쳤다.
한국이 학습 도달도와 흥미 격차가 특히 크지만 학습 도달도가 높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도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중학교의 수학·과학을 보면, 일본, 대만, 홍콩등이 대부분 학습 도달도가 높은 반면, 흥미나 자신감은 평균 이하에 뒤져 있다.특히 일본은 한국과 함께 관심, 자신감 모두 최하위권이었다.
교육부 박지영 교육기회보장과장은 흥미와 자신감이 낮은 것은 1995년 이후 계속되고 있다며 아무래도 성적을 위해 열심히 공부하다 보니 흥미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상경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교육평가본부 실장도 동아시아 국가들이 자신감이나 흥미가 떨어지는 이유는 여러 해석이 있지만 겸양을 강조하고 학업의 도구적 가치를 강조하는 측면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개선을 위한 연구와 정책이 지속적으로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일본 뉴스에 나오는 한국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뉴스의 한국 소식_일본 신주한대사후보 한류팬노래방 덕분에 한국어 학습 포기 안했어. (0) | 2020.12.10 |
---|---|
일본뉴스의 한국소식_ 백신 접종 시기 한국에선 아직 불투명 (0) | 2020.12.09 |
일본뉴스의 한국 소식_중국VS한국'김치 종주국'을 놓고 매서운 논쟁 (0) | 2020.12.09 |
일본뉴스의 한국소식_한-중 문재인 대통령 오산 검찰총장 제거 여론 절반이상 잘못됐다 (0) | 2020.12.08 |
일본뉴스의 한국소식_트와이스 멤버 전원 폐렴 검사 음성 사나 18일까지 격리 (0) | 2020.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