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동사의 활용형

단어의 모양이 바뀔 때의 하나하나 모양을 活用形かつようけい_  활용형이라고 한다.

동사에는 未然形みぜんけい_미연형・連用形れんようけい_연용형・終止形しゅうしけい_종지형・連体形れんたいけい_연대형・仮定形かていけい_가정형・命令形めいれいけい_명령형의  6종류의 활용형이 있다.

(例) 「行く」の活用形

미연형 - 行か(ナイ) / 行こ(ウ) 

연용형-  行き(マス) / 行っ(タ) 

종지형-  行く

연체형 - 行く(トキ)

가정형 -  行け(バ)

명령형 - 行け

■ 동사 활용형의 주요 용법

동사의 활용형은 문중에서의 용법에 의해 결정된다.

①미연형은 「ない・う・よう」 이 이어진다.
(例) 誰とも 話さ未然形ない。 本を 読も未然形う。
누구와도 이야기하지 미연형 않는다 . 책을 읽자 미연형.
② 연용형은

❶ 「ます・た(だ)」나 「て(で)」 가 이어진다.

(例) お風呂に 入り連用形ます。 直接 会っ連用形て 確かめる。
 목욕하고 들어감 연용형 입니다. 직접 만나서 연용형 확인하겠습니다.
❷ 중지법에 이용한다.
(例) 雨が 降り連用形、雷が 鳴る。
비가 오고 연용형, 천둥이 친다.

③종지형은 그 말로 문장이 끝난다(단언).
(例) すやすやと 眠る終止形。
새근새근 자다 종지형

④ 연체형은 체언(とき・こと/때·것)이 이어진다.
(例) ドアを 開ける連体形 ときは、ノックし なさい。
문을 열 연체형 때는 노크하세요.

⑤ 가정형은 「ば」 가 이어진다.
(例) 明日に なれ仮定形ば、雨が 止むだろう。
내일이 되면 가정형 비가 그칠 것이다.

⑥명령형은 명령하고 문장을 단언한다.
(例) 早く 来い命令形。
빨리 와라 명령형.

 

 


 

동사의 활용형

 

동사등의 활용이 있는 단어는, 문중에서의 이용방법(끊어지는가 계속 되는가, 어떠한 말이 계속 되는가)에 의해서 하나의 단어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합니다.

 

예시로 동사의 「行く」 를 활용하도록 해볼까요?

 

行か ナイ

行こ ウ

行き マス

行っ タ

行く 。

行く トキ

行け バ

行け 。

 

이렇듯 「行く」 라는 동사는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 그 쓰이고 있는지에 따라서 여러 형태로 변화합니다.

 

단어의 모양이 바뀔(활용할) 때의 하나하나의 형태를 활용형活用形かつようけい 라고 합니다.

 

자,활용되는단어의형태가바뀔때의하나하나의형태에는이름이 붙습니다.

동사 「行く」를 예로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行か(ナイ)… 未然形

行こ() … 未然形

行き(マス)… 連用形

行っ() … 連用形

行く() … 終止形

行く(トキ)… 連体形

行け() … 仮定形

行け() … 命令形

 

이 예에서 보시다시피 동사가 취하는 다양한 형태(활용형)에는 

미연형_未然形みぜんけい・연용형_連用形れんようけい・종지형_終止形しゅうしけい・연대형_連体形れんたいけい・가정형_仮定形かていけい・명령형 命令形めいれいけい 의 6가지 종류의 이름이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것은, 이들 6개의 이름은 각각의 단어의 형태의 문중에서 사용되는 방법(용법)에 의해서 정해지는 것입니다.

 

위의 예에서는 「行く」라는 똑같은 모양에 종지형終止形과 연체형連体形이라는 두 개의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것은, 같은 「行く」라고 하는 형태라도, 그 용법이 달라서 다른 이름이 붙여졌기 때문입니다.

 

또 「行か」와 「行こ」、「行き」와 「行っ」은 각각 형태가 달라도 미연형未然形과 연용형連用形처럼 같은 이름이 붙었습니다.

 

이것은 비록 형태가 달라도 용법이 같기 때문입니다.

 

각각의 활용형 용법에 대해서는 뒷부분에 설명하겠습니다.

우선은 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대형·가정형·명령형의 6가지 활용형을 이 순서로 확실히 기억합시다.

 

※ 예를 들어 「―か」는 미연형의 활용어미가 「か」 임을 나타냅니다. 「か」뿐만 아니라 「行か」 전체에서 미연형임을 주의해 주십시오.

 

 

그런데, 품사 중에서 활용이 있는 것은, 동사 외에 형용사·형용동사·조동사가 있습니다 (「단어의 분류(3) 품사의 분류」의 페이지를 참조)

 

동사의 활용형에는 위에서 본 것처럼 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대형·가정형·명령형의 6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이에 비해서 형용사와 형용동사의 활용형은 명령형을 제외한 다섯 가지 종류밖에 없습니다.

조동사인 경우에는 조동사의 종류마다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헷갈리지만 '활용형'과 '활용의 종류'를 혼동하지 말고 확실히 구별해 보세요.

「活用形」[활용형]은 단어가 활용할 때의 하나하나의 형태를 말하며 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대형·가정형·명령형의 6종류가 있습니다.

「活用の種類」「활용의 종류」는, 단어의 활용 방법을 타입별로 분류한 것으로, 동사의 경우에는 5단 활용·상단 활용·하단 활용·カ변·サ변의 5 종류가 있습니다.

 

 

 

 

동사 활용형의 용법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동사의 활용형에는 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대형·가정형·명령형의 6종류가 있습니다.

그리고 어떤 동사가 글 안에서 어떤 활용형을 취할 것인지는 글 안에서의 용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그래서 다음 각 활용형의 대표적인 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또한 각각의 활용형 용법은 아래에서 서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습니다.)

활용형 용법은 동사와 형용사, 형용동사가 다릅니다.

 

단어의 활용형은 뒤에 이어지는 단어로 구분한다.

 

 


 

(1) 未然形の用法_ 미연형의 용법

 

もう 誰とも 話さない。(「話す」の未然形)

部屋に こもって 本を 読も。(「読む」の未然形)

明日は 学校なので、もう よう。(「寝る」の未然形)

 

이와 같이, 동사의 미연형은, 「ない」「う・よう」 가 뒤에 계속될 때에 이용되는 형태입니다.

 

 

(2) 連用形の用法_연용형의 용법

 

 

毎日、お風呂に 入ります。(「入る」の連用形)

カラスが 飛んで いるのが 見え。(「見える」の連用形)

彼に 直接 会っ 真相を 確かめる。(「会う」の連用形)

雨が 降り雷が 鳴る。(「降る」の連用形)

 

위 예문에서 동사 연용형의 용법을 한번 생각해 볼까요?

먼저, 동사의 연용형은, 「ます」「た(だ)」 나 「て(で)」 가 뒤를 잇습니다.

 

또 마지막 예문은 문장이 연용형 「降り」 부분에서 일단 중지한 후에 거기서 끝나지 않고 다시 이어져 있어요.

 

이러한 연용형의 용법을 중지법이라고 합니다.

 

중지법의 용법이 있는 것은 동사의 연용형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형용사나 형용동사의 연용형에도 중지법의 용법이 있습니다.

 

 

(3) 終止形の用法_종지형의 용법

 

赤ちゃんが すやすやと 眠る。(「眠る」の終止形)

 

예문과 같이, 동사의 종지형은 그 말로 문장이 끝날 때 사용합니다.

 

동사의 종지형은 동사의 기본이 되는 형태(기본형)이며, 단언형이라고도 합니다.

그래서 국어사전에 많이 나와 있는 단어 하나하나의 제목으로 쓰인 것이 이런 형태입니다.

 

종지형의 용법은 문장을 단언하는 것뿐만이 아니다.

마침표형에는 조동사나 조사가 뒤에 이어지는 용법도 있습니다.

다음 예에서 확인하세요.


○ 雨が 降るそうだ。(「降る」の終止形)

○ お酒を 飲むと、顔が赤くなる。(「飲む」の終止形)

 

 

(4) 連体形の用法_연체형의 용법

 

ドアを 開ける ときは、必ず ノックし なさい。(「開ける」の連体形)

教える ことは、学ぶ ことでも ある。(「教える」「学ぶ」の連体形)

 

이와 같이 동사의 연체형은 「とき」「こと」 과 같은 체언(명사)이 뒤에 있을 때 사용되는 형태입니다.

 

연체형으로는 체언이 이어지는 용법 외에 조동사 「ようだ」 나 조사 「の」가 이어지는 용법도 있습니다.

다음 예시에서 확인해 보죠.

○ どうやら 映画が 始まるようだ。(「始まる」の連体形)

○ タバコを 吸うのは、健康に 悪い。(「吸う」の連体形)

 

(5) 仮定形の用法_가정형의 용법

 

明日に なれ 、雨が 止むだろう。(「なる」の仮定形)

 

예문을보신것처럼동사의가정형은 「ば」 가이어질때의형입니다.

 

(6) 命令形の用法 _  명령형의 용법

 

春よ、早く 来い。(「来る」の命令形)

 

예문처럼동사의명령형은명령을하고글을끊어쓸때사용되는형태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