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최근 두 차례에 걸쳐 국가안보실 소속 비서관을 일본에 극비리에 파견해 강제징용 문제 등 현안을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 발간된 일본 잡지 문예춘추 2021년 1월호는 징용공 문제 한일 비밀교섭의 전모 기사에서 10월과 11월 당시 청와대 국가안보실이던 박철민 외교정책비서관이 두 차례 일본을 방문했다고 전했다.
박 비서관은 이달 초 주헝가리 대사에 임명됐다.
문예춘추에 따르면 박 비서관은 10월 11일 일본을 방문해 다키자키 시게키 외무성 아시아대양주 국장을 만났다.이 자리에서 박 비서관은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와 관련해 일본 피고 기업의 압류 자산이 현금화되는 동시에 한국 정부가 손해를 보전하겠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일본 측은 설사 (보전이) 동시에 이뤄지더라도 판결 집행을 인정하라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며 즉각 거절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비서관이 두 번째로 일본을 방문한 것은 11월 19일로 박지원 국가정보원장과 김진표 한일의원연맹 회장 등이 방일한 이후다.
박 비서관은 이번에는 타키자키 국장뿐 아니라 일본 정보기관 관계자들과도 만났다.주로 북-일 관계 상황이나 스가 요시히데 정권이 북한 외교에 얼마나 관심을 갖고 있는지 등을 파악한 것으로 보인다.또 북한 문제와 관련해 한일이 협력하자는 제안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10월 28일 타키자키 국장이 외교 당국 간 국장급 협의차 한국을 방문했을 때도 박 비서관은 타키자키 국장을 비밀리에 만났다.사실상 외교부를 제외하고 청와대 비서관이 실질적인 연결고리 역할을 한 셈이다.
박 비서관은 외교부 유럽국장 등을 지낸 유럽통이다.문예춘추는 박 비서관을 일본에 급파한 배경에 대해 협상을 앞두고 일본 측의 진의를 직접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간 총리는 취임 이후인 9월 24일 문재인(1만5000) 대통령과의 첫 통화에서 이미 현금화 흐름이 멈추지 않는 한 한중일 정상회의 참석은 어렵다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달 10일 일본에서 간 총리를 만난 박 원장이 "2021년 도쿄 올림픽을 계기로 한국·중국·일본·미국 간 4자회담 개최와 최종적으로는 문·간 공동선언을 하자"고 제안했으나 곧바로 청와대로부터 "박 원장의 제안은 없었던 것으로 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도 전했다.
'일본 뉴스에 나오는 한국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뉴스의 한국소식_ 한국정부 코로나양성인데 자택대기 수도권만 506명 머지않아 의료역량 한계 (0) | 2020.12.11 |
---|---|
일본뉴스의 한국소식_ 방탄소년단 선정되었다. 올해의 엔터테이너에 (0) | 2020.12.11 |
일본뉴스의 한국 소식_일본 신주한대사후보 한류팬노래방 덕분에 한국어 학습 포기 안했어. (0) | 2020.12.10 |
일본뉴스의 한국소식_ 백신 접종 시기 한국에선 아직 불투명 (0) | 2020.12.09 |
일본뉴스의 한국소식_ 한국 초·중학생 수학 성취도 세계 3위 흥미·자신감은 꼴찌 (0) | 2020.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