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조동사 「ない・ぬ(ん)」
(1) 의미
부정 …어떤 동작에 대해 그게 아니라고 한다.

(2) 활용
ない : 형용사형

ぬ(ん):특수형

 

(3) 접속
「ない」「ぬ(ん)」 는, 함께 동사(및 동사형 활용의 조동사)의 미연형에 붙는다.

 

 


1 「ない・ぬ(ん)」 의 의미

誰にも 秘密を 話さない

 

「話さない」 는 동사 「話す」 에 조동사 「ない」 가 붙은 형태이고

「話す」 는 동작에 대해서 그렇지 않다 そうではない 라는 뜻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어떤 동작등에 대해서 그렇지 않다고 하는 것을 부정 이라고 합니다.

「ない」 는 부정행위를 나타내는 조동사예요.

 

 

조동사의 「ない」 와 헷갈리는 단어에 형용사의 「ない」 가 있어요.

형용사(보조 형용사)의 「ない」 도 부정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気温が あまり 高くない。

그래서 어떤 글 속에 「ない」 가 조동사와 형용사 중 어느 쪽인가를 구분하는 방식이 문제가 됩니다.

 

 

********************************************************************************************************************

 

 

もう 泣か つもりだ。

一睡(いっすい)も せ、夜が 明ける。

宿題を やらば ならない。

 

「泣かぬ」   「ぬ」는 동사 「泣く」 에 조동사인 「ぬ」가 붙은 형태입니다.

 

「せず」 의 「ず」 나, 「やらねば」 의 「ね」 도, 각각 조동사 「ぬ」 가 활용한 형태입니다.

 

「ぬ(ん)」 도 「ない」 와 마찬가지로 부정의 표현을 나타내는 조동사예요.

 

 

2 「ない・ぬ(ん)」 의 활용

(1) 「ない」 활용

 

【知らない

→知らなかろ

→知らなかっ

→知らなくなる

→知らない

→知らないとき

→知らなけれ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가정형 명령형
ない なかろ

なかっ

な く

ない ない なけれ
続くことば

ナル

(言い切る) トキ  

 

이 활용 방법은 형용사와 같습니다.

 

 

 

「ない」  는 형용사형을 활용하는 조동사예요.다만 형용사와는 달리 어간과 활용어미의 구별이 없습니다.

형용사 활용 방법을 기억해 두면, 「ない」 의 활용표를 달달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ない」 는 형용사형으로만 기억하면 됩니다.

 

 

(2) 「ぬ(ん)」 활용

 

【泣かぬ(ん)

→泣か

→泣かぬ(ん)

→泣かぬ(ん)とき

→泣か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가정형 명령형
ぬ(ん) ぬ(ん) ぬ(ん)
続くことば   (中止法) (言い切る) トキ  

마침표와연대형의 「ぬ」 뒤에붙은 「(ん)」 은 「ん」 으로바꿀수있다는뜻입니다.

 

이러한 활용의 방법은,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의 어느 쪽의 활용의 방법과도 비슷하지 않습니다. 

 

 

이렇게「ぬ(ん)」 는특수활용을하는조동사에요.

 

「ぬ(ん)」 와 같은 특수형의 활용에 대해서는 그 활용표를 외울 수밖에 없어요.

 

 

3 「ない・ぬ(ん)」 의 접속

読ま ない / 読ま ぬ(ん)

信じ ない / 信じ ぬ(ん)

食べ ない / 食べ ぬ(ん)

 ない / 来 ぬ(ん)

 ない / せ ぬ(ん)

 

 

이 예의 적자부분은 모두 동사의 미연형입니다.

즉, 「ない」와  「ぬ(ん)」 는 모두 동사의 미연형에 붙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위의 예시처럼 동사 활용의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동사의 미연형에 붙습니다.

 

동사 「ある」 의 미연형은 「あら」인데, 만약 여기에 조동사 「ない」가 붙는다면  「あらない라고 하는 형태가 됩니다.

하지만 「あらない」 말은 하지 않아요.

즉, 「ない」 는 동사 「ある」  의 미연형에는 예외적으로 붙지 않아요.

(「あらぬ﹅」 라는 표현이면, 할 수 있습니다.)

 

 

待た  ない/待た  ぬ(ん)

来 させ ない/来 させ ぬ(ん)

買わ れ ない/買わ れ ぬ(ん)

見 られ ない/見 られ ぬ(ん)

行き たがら ない/行き たがら ぬ(ん)

行き ませ ぬ(ん)

 

이 예의 적자부분은 모두 조동사의 미연형입니다.

 

「せ」「させ」「れ」「られ」「たがら」 는 각각 「せる」「させる」「れる」「られる」「たがる」 의 미연형이며, 이것들은 동사형의 활용을 하는 조동사입니다.

 

이와 같이, 「ない」「ぬ(ん)」 는, 동사의 미연형에 붙을 뿐만 아니라, 동사형 활용의 조동사의 미연형에도 붙습니다.

 

또, 「行きませぬ(ん)」 처럼, 「ぬ(ん)」 만은, 「ます」 의 미연형 「ませ」 에도 붙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