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조동사_ 「う・よう」
(1) 의미
추량…「~だろう」 라고 상상한다(짐작한다).


의지…「~するつもりだ」라는 강한 마음.

(2) 활용
무변화형

아래 내용 참고


(3) 접속
「う・よう」는, 용언이나 일부 조동사의 미연형에 붙는다.

① 용언의 미연형
う :동사(5단활용)·형용사·형용동사의 미연형에 따른다.

よう:5단 활용 이외의 동사의 미연형에 붙는다.

② 일부 조동사의 미연형
う :「ない・たい・だ・ようだ・そうだ・た・ます・です」의 미연형에 붙는다.

よう:「せる・させる・れる・られる」의 미연형에 붙는다.

 

 


1 「う・よう」 의 의미

(1) 推量 추량

 

東京は 暑かろ

あすには 雪も 消えよう

 

첫 번째 문장의 「暑かろう」 는 실제로 도쿄에 있으면서 더울 것이라는 것을 확인한 것은 아니지만 아마 더울 것이라고 상상한다라는 뜻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음글의 「消えよう」 도 「あす」이라는장래의일이지아직그렇게되지않았지만눈이사라질것이라고상상한다는뜻을나타내고있어요.

 

이렇게말하는사람이  「~だろう」 상상하는것을 추측이라고 해요 

 

 

우리가일상대화문에서는위의예문처럼동사나형용사에 「う・よう」 을직접이어서사용하는경우는별로없는데요.

보통은 다음과 같이 「だろう」 나 「でしょう」 와 같은 형태로 같은 의미를 나타냅니다.

・東京は暑いだろ

・あすには 雪も 消えるでしょ

여기서 「う」 는 여기서 설명한 추측에 대한 조동사예요.

 

 

(2) 意志의지

 

駅まで 自転車で 行こ

帰って ごはんを 食べよう

 

 

첫 번째 문장의 「行こう」 는 말하는 사람이 간다라는 동작을 할 작정이다, 아니면 그렇게 결심한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다음문장에서 「食べよう」 도'먹는다'는동작을할생각이라는뜻입니다.

 

위의 「う」「よう」 는 할 것이다라는 화자의 강한 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것을 의지라고 해요.

 

「行こう」 「食べよう」 도, 말의 파악하는 방법에 따라서는, 단지 화자가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 것에 머무르지 않고, 듣는 사람에게 권유하고 있는 의미로 이해할 수도 있습니다.

「いっしょに行きませんか」「いっしょに食べませんか」 라는 뜻입니다.

이러한 의미를 권유 라고 합니다.
권유도 「う・よう」 의 의미 중 하나입니다.

 

 

「う・よう」 의 의미를 분별하는 법

글 속의 「う・よう」를 「だろう」「でしょう」 바꿔 뜻이 바뀌지 않으면 짐작, 그렇지 않으면 의지(권유).

 

 

2 「う・よう」 의 활용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가정형 명령형
(う)
よう よう (よう)
続くことば     (言い切る) コト    

 

 

 

이 활용표를 보면, 「う」 「よう」  활용형이 종지형과 연체형의 두 개 밖에 없습니다.게다가, 같은 형태일 뿐 변화하지 않았습니다.

 

말의 형태는 변화하고 있지 않지만, 활용형의 차이는 있으므로 일단 활용이 있다고 생각합시다.

 

「う・よう」 무변화형을활용하는조동사예요.

 

마찬가지로 무변화형을 활용하는 조동사로는 「まい」 가 있습니다.

무변화형의 활용은 모두 기본형과 같기 때문에 기억하기 쉬울 것입니다.

 

******************************************************************************************************************************

 

그런데 다시 활용표를 보면요, 연체형이 둥근 괄호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것은, 연체형의 「う」「よう」 가 이용되는 것은, 「こと・もの・はず」라고 하는 명사가 계속 되는 때에만 한정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これから 起こるで あろ ことを 予測する。

油断しよう ものなら、負けて しまう。

彼が 来よう はずが ない。

 

 

3 「う・よう」의 접속

(1) 「う」 의 접속

 

行こ     (動詞)

楽しかろ   (形容詞)

きれいだろ  (形容動詞)

 

 

이 예의 적자부분은, 동사·형용사·형용동사의 미연형입니다.

 

즉, 조동사 「う」 는 용언(동사·형용사·형용동사)의 미연형에 붙습니다.

 

다만, 동사에 대해서는, 오단 활용의 동사 밖에 붙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起きる」(上一段活用) 의 미연형 「起き」에 「う」 를 계속하고, 「起きう﹅」 라고 하는 표현을 할 것은 없습니다.

 

********************************************************************************************************************

話さ なかろ 

話し たかろ 

話す だろ 

話す ようだろ 

話し そうだろ 

話し たろ 

話し ましょ 

話す でしょ 

 

이 예의 적자부분은 모두 조동사의 미연형입니다.

이렇게 「う」 는 조동사 「ない・たい・だ・ようだ・そうだ・た・ます・です」 의 미연형에도 붙습니다.

 

********************************************************************************************************************

 

(2) 「よう」  의 접속

 

起き よう  (上一段活用)

受け よう  (下一段活用)

 よう   (カ変)

勉強し よう (サ変)

 

이 예의 적자부분은 모두 동사의 미연형입니다.다만, 5단 활용의 동사는 없습니다.

 

이와 같이, 「よう」는, 5단 활용 이외의 동사의 미연형에 붙습니다.

 

********************************************************************************************************************

 

또 다른 예를 보겠습니다.

 

立た  よう

起き させ よう

愛さ  よう

忘れ られ よう

 

이 예의 적자부분은 모두 조동사의 미연형입니다.

 

이와 같이, 「よう」 는, 이러한 조동사 「せる・させる・れる・られる」 의 미연형에도 붙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