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조동사 「まい」
(1) 의미
① 부정의 짐작 …「~ないだろう」고 상상한다.

② 부정의 의지 …「~ないつもりだ」 하는 마음.

※ 「う・よう」 의 추량·의지에 부정(부정)이 더해진 의미.

(2) 활용
내용참조

(3) 접속
「まい」 는 다음과 같이 접속한다.
① 5단 활용의 동사 및 조동사 「ます」 의 종지형에 해당한다.

② 5단 활용 이외의 동사 및 조동사 「せる・させる・れる・られる」 의 미연형에 붙는다.


 

 


1 「まい」 의 의미

(1) 부정의 추량

 

彼は、もう 来まい

 

「来まい」 오지 않음이 아직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오지 않으리라고 상상한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말하는사람이 「~だろう」 라고상상하는것을추측이라고해요.

조동사 「う・よう」 의 의미 중 하나가 추측이었습니다.

 

예문에서 「まい」 는 이런 추측의 의미에다 「~でない」 라는 의미가 더해진 거죠.

 

즉, 「~ないだろう」 라고 상상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것을 부정의 추측이라고 합니다.

 

 

(2) 부정의 의지

 

決して 怠け者には なるまい 。

 

「なるまい」 은 그렇게 되지 않으려고 하거나 그렇게 되지 않기로 결심한다는 뜻을 나타냅니다.

 

조동사 「う・よう」  중 하나가 화자의 「~するつもりだ」 라는 마음, 결심을 나타내는 의지가 있었어요.

 

예문에서 「まい」 는 이 의지의 의미에다가 「~でない」 라는 의미(부정)가 더해진 거죠.

 

즉, 「~ない(ようにする)つもりだ」 라는 마음, 결심을 나타내는데 이것을 부정의 의지라고 해요. 

 

 

************************************************************************************************************

 

이상과 같이 「まい」 는 부정의 추측과 부정의 의지라는 두 가지 의미를 나타냅니다.

 

「う・よう」 가 추측과 의지를 나타내는 것에 대해, 그러한 의미에 부정(부정)이 더해진 것이 「まい」 의 의미이다고 이해해 주세요.

 

 

**************************************************************************************************************

 

어떤 글 중 「まい」 가 부정의 추측과 부정 의사 중 어느 쪽인지를 분간하는 것이 문제가 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생각하면 될 것입니다.

 

 

「まい」 의 의미를 분별하는 법

 

「まい」  「~ないだろう」 로 대체될 때는 부정 추량의 의미, 

「~ないつもりだ」「~ないことにしよう」 대체될 때는 부정 의사의 의미. 

 

 

2 「まい」 의 활용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가정형 명령형
まい まい (まい)
続くことば     (言い切る) コト    

 

 

 

「まい」 의 활용형은, 종지형과 연체형의 2개 밖에 없습니다.게다가, 같은 형태입니다.

 

말의 형태는 변화하고 있지 않지만, 활용형의 차이는 있으므로 일단 활용이 있다고 생각합시다.

 

이렇게 「まい」 는 무변화형 활용을 하는 조동사 입니다.

 

무변화형의 활용은 모두 기본형과 같기 때문에 기억하기 쉬울 것입니다.

 

****************************************************************************************************************************

 

그런데 활용표를 잘 보시면요, 연체형의 「まい」 가 둥근 괄호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것은, 연체형의 「まい」 가 사용되는 것은, 「こと・もの」 이라고 하는 명사가 계속 되는 경우에만 한정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あろう ことか あるまい ことか、財布が 盗まれた。

聞かなければ 悲しむまい ものを。

 

 

3 「まい」 의 접속

言う まい  (五段・終止形)

落ち まい  (上一段・未然形)

消え まい  (下一段・未然形)

 まい   (カ変・未然形)

失敗し まい (サ変・未然形)

 

 

이 예의 적자 부분이 모두 동사입니다만, 전부가 같은 활용형인 것은 아닙니다.

 

5단 활용의  동사(言う)는 종지형입니다만, 그 이외의 활용의 동사 (落ちる・消える・来る・失敗する) 는 미연형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이, 「まい」 는, 오단 활용의 동사에는 그 종지형에 붙습니다만, 오단 활용 이외의 동사에는 그 미연형에 붙는 조동사입니다.

 

 

**************************************************************************************************************************

 

知ら  まい  (未然形)

食べ させ まい (未然形)

言わ  まい  (未然形)

来 られ まい  (未然形)

思い ます まい (終止形)

 

이 예의 적자 부분이 모두 조동사입니다만, 전부가 같은 활용형인 것은 아닙니다.

 

「せ・させ・れ・られ」 는 「せる・させる・れる・られる」 의 미연형입니다만, 「ます」 는 종지형입니다.

 

이와 같이, 「まい」 는 조동사에도 붙습니다만, せる・させる・れる・られる」 때는 그 미연형에 붙고, 「ます」 때는 그 종지형에 붙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