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이어지는 문절과 끊어지는 문절
글은 이어지는 문절과 끊어지는 문절로 이루어져 있다.

① 이어지는 문절이라… 글의 처음이나 중간에서, 글이 뒤의 문절로 이어진다.

② 끊어지는 문절…… 글의 마지막에 와서 글이 거기서 끝난다.

■ 관련된 문절과 받는 문절

係かかる・受うける…… 문절끼리 연결되는 것.앞문절이 관련된 문절, 뒷문절이 받는 문절

 

 

 

 

 

 


1 이어지는 문절과 끊어지는 문절

글은 보통 여러 문절이 연이어져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白い花が庭に咲さく。」라고 하는 문장이 있습니다.

 

「白い」「花が」「庭に」「咲く」 라고 하는 네 문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문절들 중에서 「白い」「花が」「庭に」  세 가지는 각각 글의 처음이나 중간에 있고 글이 뒷문절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반면, 「咲く」 라고 하는 문절은 글의 마지막에 와서 글이 거기서 끝이 났습니다.

 

그래서 「白い」「花が」「庭に」 처럼 글의 처음이나 중간에 있고 글이 뒤의 문절로 이어지는 문절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咲く」 처럼 글의 마지막에 와서 글이 거기에서 끝나는 문절을 끊을 수 있는 문절이라고 합니다.

 

 

 

 

위 그림처럼 하나의 문은 보통 여러 개의 이어지는 문절과 하나의 끊어지는 문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끊어지는 문절의 대부분은, 단언하는 형태(종지형)나 명령하는 형태(명령형)가 됩니다.

 

 

 

예를들어서 「行くぞ。」 라고 하는 글처럼 끊어지는 문절만으로 이루어 진 글도 있습니다.

 

 

 

 

 

2 관련된 문절과 받는 문절

문장을 만들고 있는 문절들 사이에는 의미의 맺음이있습니다.

 

「白い花が庭に咲く。」 라는 예문을 사용해서 이것을 생각해 봅시다.

 

먼저, 「花が」 와 「咲く」 가  ,무엇이-어떻게 하다 라는관계로연결되어있습니다.

 

그리고 「白い」 가 「花(が)」 의 성질(어떤)을 설명하고, 「庭に」 가 「咲く」 의  장소(어디에)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白い」와 「花が」도, 「庭に」와 「咲く」도 이것이 각각 설명하는 문절로 여겨지는문절이라는 관계로 결부되어있습니다.

 

「白い」「花が」「庭に」「咲く」 라는 4문절의 의미에 대한 결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이와 같이, 문절끼리 의미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앞의 문절에서 보아 「係かかる」 관련되어있다. 

라고 하며, 뒤의 문절로부터 보아 「受うける」 받는다라고 합니다.(양쪽 모두 합하여 문절의 관계받는다고 하는 것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花が」 와 「咲く」 두 문절의 결합은 「花が」가 「咲く」와 관련된, 또는 

「咲く」 가 「花が」를 받는다 라고 하는 식으로 말할 수 있습니다. 

 

이때 앞의 문절을 관련된문절, 뒷문절을 받는 문절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같은 문절이 관련된 문절이 됨과 동시에 받는 문절이 되기도 합니다.

 

아까예시를보시면 「花が」 는 「咲く」 '에대해서와관련된문절입니다만, 「白い」 에대해서는받는문절이라고볼수있습니다.

 

또 받는 문절과 관련된 문절은 하나뿐만이 아니고 두가지 이상의 문절을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앞에서 「咲く」 는 「花が」와 「庭に」 두 문절을 받았습니다. 

 

 

 

문절끼리는요,여러관계로연결됩니다.

예를 들어서 위 예문의 「花が」 와 「咲く」는주어와서술어의관계로연결되어있습니다.

또 「白い」와 「花が」、「庭に」 는 두 가지 결합이 모두 수식어와 피수식어의 관계입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의태어 / 의음어 의미
おちおち 마음 놓고 차분하게 있을 수 없는 모습
おどおど 주뼛주뼛 두려움이나 불안으로 어수선한 모습
おろおろ 갈팡질팡 어쩔 줄 몰라 허둥대는 모습.
ガタガタ 심하게 떨리어 움직이는 모양 덜덜, 와들와들 후들후들
 단단한 거 맞닿는 소리
がたがた 후들후들 떨리는 모습
ガーン 꽝!! 충격타격 받는 모습
ぐらぐら 흔들흔들 흔들리며 안정되지 않는 모습
そわそわ 안절부절못하고 마음이 뒤숭숭.
たじたじ 주춤주춤 압도당해 주춤하는 모습
의태어 / 의음어 의미
どきどき 두근두근 심장 박동이 빨라지는 모습
どぎまぎ 허둥지둥 당황하는 모습.
はっ 갑자기 생각나거나 놀라는 모습
はらはら 조마조마 걱정해서 안절부절못하는 모습
びくびく 벌벌 떨며 공포와 불안에 떨고 있는 모습.
ひやひや 조마조마 걱정이나 공포로 어수선한 모습
ひやり 오싹, 갑자기 냉기나 공포를 느끼는 모습
ふらふら 휘청휘청 안정되지 않고 흔들리는 모습
ぶらぶら 대롱대롱 늘어뜨려 흔들리는 모습
의태어 / 의음어 의미
ぶるぶる 오들오들 추위 공포 등으로 몸이 떨리는 모습.
まごまご 우물쭈물 당황하는 모습
もじもじ 머뭇머뭇, 조심스러움과 부끄러움 때문에 안절부절못하는 모습.
もぞもぞ 안절부절못하고 몸을 움직이는 모습
やきもき 안절부절못하고 초조해하는 모습.
ゆらゆら 흔들흔들 물건이 천천히 흔들리는 모습.
わなわな 부들부들 분노나 두려움 등으로 조금씩 떠는 모습.

\\

반응형

'초보를 위한 일본어 문법 > 일본어 공부를 한다면 이건 알아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절끼리의 관계  (0) 2021.05.18
문절의 종류  (0) 2021.05.13
「に」의 식별  (0) 2021.05.11
「な」의 식별  (0) 2021.05.06
「で」 의 식별  (0) 2021.05.04
728x90
반응형
요점 정리

■ 「に」 란 말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① 형용동사활용어미

「に」 를 「だ」 나 「な」 로 대체할 수 있다(활용이 있다).

② 부사어의 일부

「に」 를 「だ」나 「な」 로 대체할 수 없다(활용이 없다).

③ 조동사 「そうだ」「ようだ」 의 연용형 일부

「そうに」「ように」 의 형태로 되어 있다.

④ 격조사 「に」

체언에 따르다.

⑤ 접속조사 「のに」 의 일부

역접을 나타내다.

 

 

 

 


 

 

【A】風が さわやか 吹く。

【B】ただち 始める。

【C】おいしそう 食べる。

【D】 花を 植える。

【E】眠いの、眠れない。

 

 

 

(1) 형용동사의 활용 어미

 

예문 A의 「に」 는 형용동사의 연용형 활용 어미입니다.

 

형용동사는, 활용이 있는 말로, 「―だ」 (종지형) 「―な」 (연대형)등의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예문 A의 「さわやかに」 도 「さわやかだ﹅」 나 「さわやかな﹅」 와 같이, 「に」 를 「だ」 나 「な」 로 치환할 수 있습니다.

 

덧붙여서, 단정의 조동사 「だ」 에는, 형용동사와 달리 「に」 라고 하는 형태의 연용형은 없습니다.

 

 

따라서 「に」 의 식별에서는 조동사 「だ」 의 가능성을 생각하지 않아도 됩니다.

 

 

조동사 「だ」 와 형용동사의 차이

연용형인 「に」 가 없다.

연체형 「な」 에 붙는 것은, 조사 「の・のに・ので」 뿐이다.

 

 

 

(2) 부사의 일부

 

예문 B의 「に」 는 부사어의 일부입니다.

 

부사어 중에는 「すぐに」「ただちに」「ついに」 처럼 「に」 로 끝나는 단어가 있는데요.

 

부사어는 활용 하지 않는 말이기 때문에 형용동사처럼 「に」 를 「だ」 라든가 「な」 등으로대체할수없습니다.

 

예문 B의 「ただちに」 도 「ただちだ」 나 「ただちな」 의 형태로 바꿀 수 없습니다.

 

단, 「すぐだ」 라는 표현은 틀린 게 아니에요.이때 「すぐ」 라고하는 부사에 조동사 「だ」 가접속된형태인데요.

 

 

(3) 조동사 「そうだ」「ようだ」 의 연용형 일부 

 

예문 C의 「に」 는 조동사 「そうだ」 의 연용형 (「そうに」) 의 일부입니다.

 

「そうだ」 와 마찬가지로 연용형이 「に」 로 끝나는 조동사에 「ようだ」 가 있습니다.

 

「そうに」「ように」 는그말의형태를따라서조동사라고판단할수가있습니다.

 

 

(4) 격조사 「に」 

 

예문D의 「に」는 격조사입니다.

 

격조사「に」 는 주로 체언에 붙어서 장소, 시간 등을 나타내는 연용 수식어가 되기도 하고 병립어가 되기도 합니다.

 

예문D의 「庭に」 는 「植える」 의문절과 관련 되어 있는 연용수식어로, 장소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5) 접속조사 「のに」 의 일부 

 

예문 E의 「に」 는 접속 조사 「のに」 의 일부입니다.

 

 

접속조사 「のに」 는 활용어(용언, 조동사)의 연체형에 대해 역접 관계(반대되는 사안을 잇는 관계)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면, 예문 E를 생각할 때 「眠い」 라고 하는 것에 대해서 「眠れない」 라고 하는 반대의 것들이 뒤에 와서 연결이 되는데요, 「のに」 는 그러한 역접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 「な」 라는 말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① 형용동사활용어미

② 조동사 「だ」 의 연체형

③ 조동사 「そうだ」「ようだ」 의 연체형 일부

④ 연체사의 일부

⑤ 끝 조사 「な」

 

 


【A】おだやか 海だ。

【B】ので、傘を さす。

【C】雨が 降りそう 天気だ。

【D】小さ 魚が 泳ぐ。

【E】道路で 遊ぶ

 

 

 

(1) 형용동사의 활용 어미

 

예문 A의 「な」 는, 형용동사의 (연체형의) 활용 어미입니다.

 

형용동사는, 활용이 있는 말로, 「―だ」 (종지형) 「―に」 (연용형)등의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예문 A의 「おだやかな」 「おだやかだ﹅」 「おだやかに﹅」와 같이, 「な」 를 「だ」 나 「に」 로 치환할 수 있습니다.

 

덧붙여서, 단정의 조동사 「だ」 의 활용형에는, 「な」(연체형)은 있습니다만, 「に」 는 없습니다.

 

 

 

(2) 조동사 「だ」 의 연체형

 

 

예문 B의 「な」 는 조동사 「だ」 의 연체형입니다.

 

조동사 「だ」 의 연체형의 「な」 에는, 직후에 조사의 「の・ので・のに」 가 이어지는 용법 밖에 없습니다.

 

형용동사의 연체형 「―な」 이면, 직후에 체언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조동사 「だ」의 연체형 「な」는 「雨な天気」 와 같이 체언을 이어갈 수가 없습니다.

 

 

 

조동사 「だ」 와 형용동사의 차이

연용형인 「に」 가 없다.

② 연체형 「な」 에 붙는 것은, 조사 「の・のに・ので」 뿐이다.

 

 

또, 조동사 「だ」 에는 주로 체언에 접속한다고 하는 성질이 있습니다.

 

 

(3) 조동사 「そうだ」「ようだ」 의 연체형 일부

 

예문 C의 「な」 는 조동사 「そうだ」 의 연체형( 「ような」) 의 일부입니다.

 

「そうだ」 와 마찬가지로 연체형이 「な」로 끝나는 조동사가 「ようだ」 가 있습니다.

 

「そうな」「ような」 는 그 말의 형태에 따라서 조동사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4) 연체사의 일부

 

예문 D의 「な」 는 연체어의 일부입니다.

연체사는 활용하지 않는 단어이기 때문에, 형용동사나 조동사와 같이, 「な」를 「だ」 나 「に」 

 등으로 대체할 수 없습니다.

 

예문D의 「小さな」도 「小さだ」 나 「小さに」형태로바꿀수없습니다.

 

(5) 종조사

 

예문 E의 '「な」 는 마지막 조사 입니다. 

 

종결조사는보통문장끝에씁니다.

 

또, 종결 조사의 「な」 는, 활용어(용언·조동사)의 종지형에 도착합니다.

 

 

마지막 조사 「な」 에는 금지의 의미와 감동의 의미 두 가지가 있습니다.

모두 활용어의 종지형에 접속합니다만, 금지의 의미는 특히 동사의 종지형에 접속합니다.

● 廊下を 走るな。 복도를 뛰지 마라.(금지)

● 国語は おもしろいな 국어는 재밌네 (감동)
반응형
728x90
반응형
■ 「で」 라고 하는 말에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형용동사활용어미

② 조동사 「だ」 의 연용형

③ 조동사 「そうだ」「ようだ」 의 연용형 일부

④ 格助詞「で」

⑤ 접속조사 「て」 의 탁음화

 

 

 


【A】風が さわやか ある。

【B】さわやかな  ある。

【C】雪が 降りそう ある。

【D】 泳ぐ。

【E】海で 泳い いる。

 

각 예문의 밑줄은 모두 「で」 라는 단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다만, 문법의 성질·종류는 각각 다릅니다.

 

 

 

(1) 형용동사의 활용 어미

 

예문 A의 「で」 는, 형용동사의 (연용형의) 활용 어미입니다.

 

예문 A의 「さわやかで」 는, 「さわやかな﹅風」 이라고 하는 것처럼, 「で」를 「な」 로 옮겨놓고 직후에 체언을 늘어놓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で」 「な」 로 바꾸어 놓으면, 직후에 체언이 계속 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 형용동사의 특징입니다.

 

그다음에 「とても ﹅さわやかな風」 이라고 하는 것처럼 앞에 「とても」 라고 하는 부사어를 보충할 수가 있습니다.이것도형용동사의특징중의하나가되죠.

 

 

★형용동사의 식별
첫 번째 단언 형태가 「だ」 로 끝난다.

② 「―な」(연대형)에 활용시켜서 체언을 늘어놓을 수 있다.

③  직전에 「とても」 를 보충할 수 있다.

 

 

(2) 조동사 「だ」 의 연용형

 

예문 B의 「で」 는 단정의 조동사 「だ」 의 연용형입니다.

 

 

例文Bの 「風だ」 라고 하는 것은 「風な﹅天気」 라고 바꾸어 쓸 수가 없습니다.

조동사 「だ」 에는그러한용법이없기때문인데요.

 

확실히 조동사 「だ」 에도 연체형 「な」 가 있습니다만, 「風なの﹅だ」「風なのに﹅﹅」「風なので﹅﹅」 のように、助詞 「の・のに・ので」 에 이어지는 용법밖에 없습니다.

 

또 직전에 「とても」 를 보완하면 「とても 風だ」 처럼 부자연스러운 표현이 됩니다.

조동사 「だ」  는 주로 체언에 붙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그것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조동사 「だ」와 형용동사의 차이

연용형인「に」 가 없다.

② 연체형 「な」 에 붙는 것은, 조사 「の・のに・ので」 뿐이다.

 

 

다만, 격조사 「で」 와의 구별은 따로 생각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3) 조동사 「そうだ」「ようだ」 의 연용형 일부

 

 

예문 C의 「で」 는 조동사 「そうだ」 의 연용형 (「そうで」) 의 일부입니다.

 

「そうだ」 와 마찬가지로 연용형이 「で」 끝나는 조동사가 「ようだ」  입니다.

 

 

「そうで」「ようで」 는 그 말의 형태에 따라서 조동사라고 판단할 수가 있습니다.

 

 

 

(4) 격조사 「で」

 

예문D의 「で」 는격조사입니다.

 

 

격조사 「で」 는 주로 체언에 붙지만 예문 B처럼 조동사 「だ」도 체언에 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구의 형태로 보아서는 격조사와 조동사 중 어느 쪽인지 구분할 수가 없습니다.

 

격조사 「で」 와 조동사 「だ」 는 그것을 포함한 문절의 의미와 작용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で」 를 포함하는 문절이 장소, 재료, 수단, 이유, 시간 등을 나타내는 연용 수식어일 때는 「で」 는 격조사입니다.단정을나타내는서술어일때는조동사입니다.

 

 

 

(5) 접속 조사 「て」 의 탁음화

 

 

예문 E의 「で」 는 접속조사 「て」 소리가 탁하게 섞인 것입니다.

 

접속조사 「て」 은 활용어(용언·조동사)의 연용형에 붙습니다만, 특히 5단 활용의 동사에 붙을 때는 음변이 발생합니다.

 

 

또한, 어떤 종류의 5단 활용 동사 (ガ행・ナ행・バ행・マ행 五段活用) 의 음편형에 붙을 때에는, 「て」 이 탁음화되어 「で」 가 됩니다.

 

예를 들면, 「泳ぐ」 」라고 하는 동사(ガ행 5단 활용)에 「て」이 붙으면 「泳いで」 가 되고, 또, 「遊ぶ」 라고 하는 동사(행 5단 활용)에 「て」 이 붙으면 「遊んで」 가 됩니다.

 

이와 같이, 동사의 음변형 (「―い」「―ん」) 에 붙는 「で」 는, 접속조사 「て」 이 탁음화한 것입니다.

반응형

'초보를 위한 일본어 문법 > 일본어 공부를 한다면 이건 알아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に」의 식별  (0) 2021.05.11
「な」의 식별  (0) 2021.05.06
「だ」 의 식별  (0) 2021.04.29
주요 종조사 용법  (0) 2021.04.27
종조사의 작용  (0) 2021.04.22
728x90
반응형
■ 「だ」 라는 말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① 형용동사 활용어미

② 조동사 「だ」  (단정)

③ 조동사 「た」 (과거·완료)의 탁음화

④ 조동사 「そうだ」「ようだ」 의 일부

 

 

 


【A】海が 穏やか

【B】穏やかな 

【C】海で 泳い

【D】海で 泳ぐそう

 

 

각 예문의 밑줄 부분은 모두 「だ」 를 포함한 어구입니다.다만, 문법의 성질·종류는, 각각 다릅니다.

 

 

(1) 형용동사의 활용 어미

 

예문 A의 「だ」 는, 형용동사의 (종지형의) 활용 어미입니다.

예문 A의 「穏やかだ」는, 「穏やかな! 海」라고 하는 것처럼, 「だ」 「な」 로 옮겨놓고 직후에 체언을 늘어놓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だ」 「な」 로 바꾸어 놓으면, 직후에 체언이 계속 되는 형태가 되는 것이 형용동사의 특징입니다.

 

 

게다가 「とても 穏やかな海」 라고 하는 것처럼 앞에 「とても」 라고 하는 부사어를 보충할 수 있습니다.이것도형용동사의특징중의하나가되죠.

 

 

형용동사의 식별
①  첫 번째 단언 형태가 「だ」 로 끝난다.

② 「―な」(연대형)에 활용시켜 체언을 계속할 수 있다.

 직전에 「とても」 를 보충할 수 있다.

 

 

(2) 조동사 「だ」

 

예문 B의 「だ」 는 단정의 조동사(의 종결형)입니다.

 

예문 B의 「海だ」 는 「海な 景色」 와 같이 말할 수 없습니다.

조동사 「だ」 에는그러한용법이없기때문인데요.

 

확실히 조동사 「だ」 에도 연체형 「な」 가 있습니다만, 、「海なのだ」「海なのに」「海なので」 처럼  조사「の・のに・ので」 가 붙는 용법밖에 없습니다.

 

또 직전에 「とても」 를 보완하면 「とても海だ」 처럼 어색한 표현이 됩니다.

 

조동사 「だ」 는 주로 체언에 붙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그것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조동사 「だ」 와 형용동사의 차이

연용형인 「に」 가 없다.

②  연체형 「な」 에 붙는 것은, 조사 「の・のに・ので」 뿐이다.

 

 

 

(3) 조동사 「た」 (과거·완료)의 탁음화

 

 

예문 C의 「だ」 는, 과거(완료)의 조동사 「た」 의 소리가 탁하게 뒤섞인 것입니다.

조동사 「た」는 주로 용언의 연용형에 붙습니다만, 특히 5단 활용의 동사에 붙을 때는 음변이 생깁니다.

 

 

또, 어떤 종류의 5단 활용 동사 (ガ行・ナ行・バ行・マ行五段活用) 의 음변형에 붙을 때에는, 「た」 가 탁음화 되어 「だ」 가 됩니다.

 

예를 들어, 「泳ぐ」라고 하는 동사(ガ行  5단 활용)에 「た」가 붙으면「泳いだ」 가 되고, 또, 「遊ぶ」 라고 하는 동사(バ행 5단 활용)에 「た」 가 붙으면 「遊んだ」 가 됩니다.

 

이와 같이, 동사의 음편형((「―い」「―ん」)에 붙는「だ」는, 과거(완료)의 조동사 「た」의 탁음화한 것입니다.

 

 

 

(4) 조동사 「そうだ」「ようだ」 의 일부

 

예문 D의 「だ」 「だ」는 조동사 「そうだ」의 일부입니다.

 

「そうだ」 와 마찬가지로 「だ」 로 끝나는 조동사로 「ようだ」가 있습니다.

 

 

「そうだ」「ようだ」 는 그 말의 형태에 따라서 조동사라고 판단할 수가 있습니다.

 

 

무엇보다, 「そうだ」 라고 하는 형태의 말이 모두 조동사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 끝 조사의 종류
종조사의 주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절이 있다.

か かしら の な な(なあ) ね(ねえ) よ や わ ぞ とも

 

 

 

 


 かしら   な(なあ) ね(ねえ)     とも

 

 

이렇게하나하나의종조사용법을간단히정리하면다음표와같은것들이있습니다.

덧붙여 각각의 단어의 용법에 대해서는, 주된 것을 들고 있습니다만, 전부는 아닙니다.여기에는 다루지 않은 용법도 있습니다.

 

 

 

疑問 의문 どれが好きです  。
反語  반어 そんなことできるもの  。
勧誘 권유 食事にしよう  。
感動 감동 ついにやり遂げた  。
かしら 疑問 의문 今日は、何曜日 かしら 。
疑問 의문 どうする  。
断定 단정 いいえ、違う  。
禁止 금지. 誰にも話す  。
命令 명령 ごはんを食べ  。

(なあ)

感動 감동 きれいな月だ な(なあ) 。
念を押す 다짐하다 それで間違いない  。

(ねえ)

感動 감동 よい景色だ ね(ねえ) 。
念を押す 다짐하다 ぜったい来て  。
語調を整える 어조를 가다듬다 今日  、学校で  、先生が  …
呼びかけ 호소 風  、ふけ。
勧誘 권유 早く行こう  。
命令 명령 もっとがんばれ  
念を押す 다짐하다 気をつけて行くんだ  。
勧誘 권유 そろそろ帰ろう  。
呼びかけ 호소 タマ  、こっちにおいで。
感動 감동 とてもおいしい  。
主張 주장.  知らない  。
強調 강조 さあ、始める  
とも 強調 강조 もちろん、協力する とも 。

 

반응형
728x90
반응형
■ 종조사의 작용

종조사 終助詞(しゅうじょし)…주로 문장 끝에 붙어서, 여러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작용을 한다.


■ 종조사의 기능

종조사는 의문·반어·금지·감동·권유·염려누르기·호소 등을 나타낸다.

 

 

 

 


1 종조사란?

【A】外は、寒いです。

【B】外は、寒いです  。

 

 

A의 글 말미에 「か」 를 덧붙인 것이 B의 글입니다.

 

A의 글은 어떤 일의 내용을 그대로 기술한 것 뿐입니다.

 

그에 비해 B 글은 그 내용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듣는 사람에게 물어보는 글입니다.

 

이 예에서 보면, 「か」 라고 하는 단어(조사)에는 사항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작용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C】この料理は、おいしい。

【D】この料理は、おいしい な(なあ)

 

C의 글 말미에 「な(なあ)」 를 덧붙인 것이 D의 글입니다.

 

C의 글도 D의 글도 어떤 것을 그대로 말한 글이지만 미묘한 의미의 차이가 있습니다.

 

D가 되는 글은 문장 끝에 「な(なあ)」 가 붙음으로써 그 일에 마음이 움직이는 듯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예로부터, 「な(なあ)」 라고 하는 말(조사)에는 감동을 나타내는 작용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이상을 통해서 「か」 나 「な(なあ)」 와 같은 말이 문장 끝에 붙음으로써 글의 내용에 대한 의문이나 감동 등의 의미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종결조사중에는요,주로여성이쓰여야하는말(여성어)이많습니다.(「かしら・こと・わ・もの・わよ」등).

・これは何 かしら 。

・すてきな洋服だ わ 

 

 

 

종조사는 주로 문장 끝에 붙습니다만, 그 중에는 문절이 끊어진 것도 있습니다 (「ね・さ・よ」등 )

 

今日は 終助 、わたしの誕生日な 終助 。

タマ 終助 、ごはんだ 終助 。

 

 

종결조사로 여겨지는 말 중에서 문절의 단락에도 붙는 것을 특히  관동조사라고 불러서 구분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2 종조사의 작용

이미 살펴보신 것처럼 종조사에는 여러 가지 의미를 나타내는 작용이 있습니다.

종조사 의미의 주요 부분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 疑問 의문

 

모르는 것을 듣는 사람에게 묻거나 이야기하는 사람 자신에게 묻거나(질문) 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いま何時です か 

これから何をしよう  。

 

 

(2) 反語 반어

 

일단은 문의 형식으로 이야기하고는 있지만 사실은 결코그렇지않다 라는것을 강조 하기 위한 표현방식을 반어라고합니다.

 

遊んでばかりいてよいのだろう  。(いや、よくない。)

 

 

이 예시에서는 '놀기만 하면 안 된다.' 가 정말 하고 싶은 말입니다.

 

 

(3) 禁止 금지

 

듣는 사람에게 그것을 하지 말라고 명령하는 것을 말합니다. 

 

よそ見をする  。

 

(4) 感動  감동

 

마음이 강하게 움직이는 것을 나타냅니다.감동이라고도 합니다.

 

いい人だ な(なあ) 。

これはすごい  。

 

 

(5) 勧誘  권유

 

듣는 사람에게 그렇게 하도록 권유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いっしょに行こう  。

 

(6) 다짐하다

 

듣는 사람이나 말하는 사람 자신에게 다짐하는(확인하는) 기분을 나타냅니다.

 

 

約束だ  。

始める  。

 

 

(7) びかけ 호소

 

누군가(뭔가)에게 호소하는 것을 나타냅니다.

 

おじいさん  、ごはんですよ。

雨  、降れ。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