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명사의 성질

명사는 사람이나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다. 체언이라고도 한다.

명사는 자립어로 활용이 없다.

■ 명사의 작용

명사는 문중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

① 주어主語가 된다……「が・は・も」 등의 조사를 수반한다.

(例) が_(主語) 飛ぶ。

② 술어述語가 된다…부속어(조동사·조사)를 수반한다.

(例) これは、だ_ (述語) 。

③ 수식어修飾語가 된다……보통 조사를 동반한다.

(例) の(修飾語) 花が(被修飾語) 咲く。 まで_(修飾語)  行く(被修飾語) 。

④ 독립어独立語가 된다…단독 또는 조사를 동반한다.

(例) 合格_(独立語)、それが目標です。 よ(独立語) 、どこへ行く。

⑤ 접속어接続語가 된다……. 조동사나 접속 조사를 수반한다.

(例) なので(接続語) 、中止になった。

 

 

 

 


1. 명사의 성질

学校 に 電車 で通っています。

わたし の 母親 は、あなた と同じ 趣味しゅみ です。

『 源氏物語_げんじものがたり 』は、紫式部_むらさきしきぶ が書いた 物語 だ。

 

 

「学校」「電車」「趣味」「物語」 라는 단어는 사물이나 사안의 이름을 나타내고

「わたし」「母親」「あなた」 이라는 단어는 사람의 호칭을 나타냅니다.

 

또 「源氏物語」 나 「紫式部」 라는 단어는 좀 더 구체적으로 하나밖에 없는 물건이나 사람의 이름을 나타냅니다.

 

이처럼 단어 중에는 사람이나 사물마다의 이름을 나타내는 것들이 있습니다.이런 단어를 명사라고 합니다.

 

명사는 체언이라고도 하는데요.  체언이라는 말은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의 세 가지 품사를 용언이라고 부르는데 대응하는 문법 용어입니다.

 

*************************************************************************************************************************

 

 

 

명사는 자립어로 활용이 없는 단어입니다.

 

자립어는, 단독으로 문절을 만들 수 있고, 항상 문절의 처음에 오는 단어입니다.

명사도 이 자립어의 하나이기 때문에 항상 문절의 처음에 옵니다.

무엇보다 명사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적고, 보통은 명사 뒤에 부속어가 붙는 형태로 문절이 만들어집니다.

 

 

(자립어와 부속어에 대해서는 '단어의 분류 (1)자립어와 부속어' 페이지를 참조해 주세요.)

 

또 명사는 활용이 없는 단어이기 때문에 문  중에서의 용법 (문이거기서끊기는가,계속되는가,어떤말이그뒤에이어지는가)에 따라서  그 형태가 달라지는 것이 없습니다.

 

(단어 활용에 대해서는 '단어 분류 (2)단어 활용' 페이지를 참조해 주세요.)

 

 

다음 예문의 적자 부분처럼 명사 단독으로 문절을 만드는 경우도 있습니다.

【ア】きのう 激しい雨が降った。

【イ】富田くん_토미타 、きのうは雨が激しかったね。

ア의 문장에서 「きのう」는 「降った」 에 대한 수식어 입니다.
イ의 문장은 「富田くん」」은, 독립어 둘다 명사 하나로 이루어진 문절입니다.

덧붙여 작품의 타이틀이나 신문 기사의 표제, 회화 등에서는, 명사가 단독으로 주어 주어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帰る(作品のタイトル) (작품 제목)

翔太くん 、帰ったかな。(会話文)(회화문)

 

 

 

2 명사의 작용

 

(1) 주어(主語)가 되다.

 

 

  飛ぶ。

空  広い。

  広い。

 

위의 예문 「鳥が」「空は」「海も」 는 각각 「鳥」「空」「海」 라는 명사에 조사 「が」「は」「も」가 붙은 문절입니다.

 

이 문절 모두 각각의 문장에서 '무엇이'「なにが」 에 해당하는 문절, 즉 주어가 됩니다.

 

이런 식으로 명사라고 하는 것은 「が」「は」「も」 와 같은 조사들을 붙여서 주어의 문장을 만든다, 라고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이것이 명사의 기본적인 작용입니다.

 

(주어는 '문절의 작용 (1)주어와 서술어' 페이지를 참조해 주세요.)

 

 

 

(2) 술어述語 가 되다.

 

これは、本  。

明日は、雨 です か 。

 

첫번째 예문의 「本だ」 라고 하는 것은 「本」 이라는 명사에 「だ」 라고 하는 부속어(조동사)가 붙은 문절입니다.

 

그리고 다음 예문인 「雨ですか」 는 「雨」 라는 명사에 「です」 (조동사)와 「か」 (조사)라고 하는 두 가지 부속어가 붙은 문절입니다.

 

두 문절 모두 각 각의 문절 중에서 「なにが―なんだ」의 「なんだ」 에해당되는문절,즉서술어로쓰이고있는데요.

이런 식으로 명사일 경우에는 「だ」「です」「か」 와 같은 부속어들이 붙어서 서술어의 문절을 만들어 내는 그런 기능들이 있습니다.

 

(서술어의 경우에는 '문절의 작용 (1)주어와 서술어' 페이지를 참조해 주세요.)

 

 

(3) 수식어修飾語가 되다.

 

  花が(体言文節) 咲く。

 まで 自転車  行く(用言文節)

 

첫 번째 예문인 「梅の」  같은 경우는 「梅」 라고 하는 명사에 조사 「の」 자가 붙은 문절이고 「花が」 라고 하는 명사(체언)의 문절을 수식하고 있습니다.

 

또 다음 예시 「駅まで」 「自転車で」 는 각각 「駅」「自転車」 라는 명사에 조사 「まで」「で」 가 붙은 문절입니다.두 문절 모두 「行く」 라고 하는 동사(용언)의 문절을 수식하고 있습니다.

 

이렇게명사라고하는것은' 「の」「まで」「に」 와같은조사들을합해서수식어로문절을만드는그런기능을합니다. 

 

(수식어에 대해서는, 「문절의 작용 (2)수식어」의 페이지를 참조해 주세요.)

 

 

위의 예시처럼 명사가 체언의 문절을 수식할 때, 즉 연체수식어連体修飾語가 될 때는 조사 「の」 를 동반합니다.

또, 명사가 용언의 문절을 수식할 때, 즉 연용 수식어가 될 때도, 다양한 조사 (「を・に・へ・まで」등)를 동반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단, 때를 나타내는 명사나 수사 같은 경우에는 조사를 같이 하지 않고 단독으로 연용 수식어가 될 수가 있습니다.다음 예문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きのう 僕は、うどんを 3杯 食べた。
(수사에 대해서는, 다음에 다루겠습니다.)

 

 

(4) 독립어 独立語 가 되다

 

合格 、それが私の目標です。

雲  、おまえはどこへ行く。

 

첫번째 예문의 「合格」 이라고 하는 것은 그 명사 한 단어로 된 문절이며 제시의 독립어로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 예문인 「雲よ」 는 명사 「雲」 에 조사 「よ」가 붙은 문절로, 부르는 독립어로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명사라고 하는 것은  단독으로, 아니면 조사를 합해서 독립어로 문절을 만드는 그런 기능이 있는데요.

 

문처럼 명사로 이루어진 독립어는요, 제시나 호소를 나타내는데요.

 

(독립어에 대해서는, 「문절의 작용(3) 접속어·독립어」의 페이지를 참조해 주세요.)

 

 

 

(5) 접속어接続語가 되다

 

雨 な ので 、試合が中止になった。

 

위의예문 「雨なので」 는명사 「雨」 에조동사 「だ」 (の연대형) 와 접속조사 「ので」가붙은문절입니다.

 

「雨なので」  문절은 뒤에 「中止になった」 문절과 연결되어 그 이유를 나타내고 있습니다.즉,접속어죠.

 

이렇게 명사로는 조동사나 접속조사를 같이 해서 접속어의 문절을 만든다라는 그런 기능도 가지고 있습니다. 

 

(접속어에 대해서는, 「문절의 작용(3) 접속어·독립어」의 페이지를 참조해 주세요.)

반응형

'초보를 위한 일본어 문법 > 일본어 공부를 한다면 이건 알아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3) 대명사  (0) 2021.01.12
명사(2) 종류  (0) 2021.01.07
용언의 활용 정리  (0) 2020.12.31
보조 용언  (0) 2020.12.29
형용동사 (2)활용  (0) 2020.12.24
728x90
반응형

■ 동사 활용의 종류 구분법

1) 「来る」 면 カ변,「する」「―する(ずる)」 면 サ변

2) 상기 이외의 동사는 나이 표시를 해서 미연형으로 해본다.

① 활용어미가 ア단의 소리라면 5단 활용

(예)書 か ナイ

② 활용어미가 イ단 소리라면 상한단 활용

(예) )起 き ナイ 

③ 활용 어미가 エ단의 소리라면 아래 한 단 활용

(예) 食 べ ナイ 

3. 「ある」 는 5단활용

 

 

 

 

 


 

 

 

1. 활용의 차이

 

 

(1) 활용형

활용형에는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가정형, 명령형의 여섯 가지가 있습니다.

동사는 이 여섯 가지 활용형 모두에 걸쳐서 활용을 하는데요.그에 대해, 형용사·형용동사에는, 명령형을 제외한 5개의 활용형 밖에 없습니다.

 

형용사, 형용동사에는 명령형이 없기 때문에, 형용사, 형용동사를 사용해 명령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しろ」「せよ」 등을 붙입니다.

● おとなしく しろ 。  静かに せよ 。

 

 

(2) 활용의 종류

동사의 활용의 종류는 5단, 상1단, 하1단, 가변, 사변의 5종류가 있습니다.그에 반해, 형용사, 형용동사의 활용의 종류는 각각 1종류뿐입니다.

 

 

여기에서는, 「きれいです」 와 같은 말을, 형용동사의 어간에 조동사 「です」 가 붙은 형태로서 생각하고 있습니다만, 「きれいです」 로 하나의 형용동사라고 하는 생각도 있습니다.그 생각에 설 때는, 형용동사에는 2종류의 활용의 방법이 있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3) 미연형

동사의 미연형은, 5단활용의 경우는 「―ア」「―オ」 의 형태의 2가지,

サ변인 경우는 「し」「せ」「さ」 의 형태의 3가지가 있습니다

그에 비해, 형용사, 형용동사는, 각각 「―かろ」「―だろ」의 형태의 하나 밖에 없습니다.

또, 동사의 미연형에는 조동사 「ない」 에 이어지는 용법이 있습니다.형용사·형용동사의 미연형에는, 「う」 에 이어지는 용법 밖에 없습니다.

(4) 연용형·음변

동사의 연용형은 5단 활용의 경우는 음변의 형태를 합쳐서 2개 있습니다만, 그 이외의 활용의 경우는 하나입니다.이에 비해, 형용사의 연용형은「―かっ」「―く」 의 두 가지, 형용동사의 연용형은「―だっ」「―で」「―に」 의 세 가지가 있습니다.

동사의 연용형에는 음변이 있어, 동사가 활용하는 행에 따라 イ음변·發音便·촉음변의 세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형용사에도 드물게 음변이 생기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는 음변이 됩니다.

형용사 연용형 「―く」 와 형용동사의 연용형  「―で」 에는 보조 형용사 「ない」 에 이어지는 용법이 있습니다.동사의 경우와의 차이에 주의해주세요.

또한, 모든 용언의 연용형에는 중지법의 용법이 있습니다.

(5) 종지형

동사·형용사·형용동사는, 각각 종지형(단정의 형태)의 활용 어미가 다릅니다.따라서어떤단어가동사,형용사,형용동사중하나를구분하려면종지형의활용어미에주목을해야합니다.

동사의 종지형은 오십음도의 우단소리로 끝나는 형태, 형용사의 종지형은 「い」 로 끝나는 형태, 형용동사의 종지형은 「だ」 로 끝나는 형태가 됩니다.

(6) 가정형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 모두, 가정형은 「ば」 에 연결됩니다.그 중 형용동사의 가정형만 「ば」 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7) 어간

형용사와 형용동사의 어간에는, 단언하는 형태로 술어가 되는 용법이나, 조동사 「そうだ」 등에 이어지는 용법이 있습니다.동사의 어간에는 이러한 용법이 없습니다.

 

 

 


 

 

 

 

 

2. 동사의 활용의 종류 구별법

동사의 활용의 방법에는 5개의 종류가 있는 것을 배웠습니다.여기에서는, 어떤 동사의 활용 방법이 5 종류 중 어느 것인가를 분별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제일 쉬운 거는 각 동사마다 활용의 종류를 많이 외우는 건데 사실 동사로 분류되는 단어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무엇보다, 특정 동사에서만 볼 수 있는 특수한 활용 방법이 있습니다.  「来る」 라는 동사는 가행 변격 활용이며,「する」「―する(ずる)」 라는 동사는 사행 변격 활용이라는 것을 배웠습니다.  「来る」 면 カ변, 「する」 면 サ변으로 기억합시다.

 

 

문제가 되는 것은, 오단활용·상한단활용·하한단활용이라고 하는 일반적인 활용을 하는 동사에 대해서 입니다.이러한 활용을 하는 동사는 많이 있기 때문에, 각각의 활용의 특징에 주목해 어느 활용인가를 분별할 필요가 있습니다.

5단 활용·상한단 활용·하한단 활용의 방법을 표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활용 종류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가정형   명령형
五段活用

上一段活用 イる イる イれ

イろ

イよ

下一段活用 エる エる エれ

エろ

エよ

 

 

「―ア」 는 활용어미가 오십음도의 가단 소리로 끝나는 것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서 '읽다'라는 동사라면 그 미연형은 「読ま」 입니다.

이 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세 가지 활용의 종류 중에서 활용형의 마지막 음이 세 가지 모두 다른 것은 미연형 뿐입니다.따라서 세 가지 활용의 종류는 미연형의 활용어미를 통해 구분할 수 있습니다.

 

 

 

동사에 ナイ 을 붙이면 미연형이 됩니다.

미연형의 활용 어미가 가단의 음이면 5단 활용, イ단의 음이면 상단 활용, エ단의 음이면 하단 활용임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이 분별하는 방법에는 예외가 있습니다.동사 「ある」 은 「あらナイ」 로 표현하지 않아요.그런데도, 「ある」 는, 5단 활용입니다.이것도 그냥 외웁시다

 

 

 

동사 중에는 서로 모양은 비슷하지만 활용의 종류나 행이 다른 것도 있습니다.헷갈리니까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합시다.

● 立つ(タ行五段活用)⇔ 立てる(タ行下一段活用)

● 浮く(カ行五段活用)⇔ 浮かぶ(バ行五段活用)

● 見る(マ行上一段活用)⇔ 見える(ア行下一段活用)

 

 

동사 「いる」 는, 그 의미에 따라서 활용의 방법이 다릅니다.

● 両親は、東京に いる 。(居る=存在する)

(東京に) い ナイ → 上一段活用

● 僕は、お金が いる 。(要る=必要である)

(お金が) いら ナイ → 五段活用

 

반응형

'초보를 위한 일본어 문법 > 일본어 공부를 한다면 이건 알아두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사(2) 종류  (0) 2021.01.07
명사 (1) 성질과 작용  (0) 2021.01.05
보조 용언  (0) 2020.12.29
형용동사 (2)활용  (0) 2020.12.24
형용동사(1)성질과 작용  (0) 2020.12.22
728x90
반응형
■ 보조동사

○ 보조동사는 다른 단어 뒤에 이어 그 의미를 보충하는 일을 하는 동사이다.

○ 보조동사는 자립어이며, 앞의 문절과 연결되어 연문절이 된다.

○ 보조동사는 「―て(で)」 의 형태의 문절에 붙는다.

■ 보조 형용사

○ 보조 형용사는 다른 단어 뒤에 이어 그 의미를 한정하는 기능을 하는 형용사이다.

○ 보조 형용사는 자립어이며, 앞의 문절과 연결되어 연문절이 된다.

 


1. 보조 동사

【A】ネットで犬の動画を 見る 。

【B】ネットで犬の動画を検索して みる 。

 

어느 쪽의 예문도, 「見る(みる)」 라고 하는 동사가 사용되어지고 있습니다(적자의 말)이, 그 나타내는 의미가 다릅니다.

예문 A에서는「見る」라고 하는 동사의 본래 의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그에 비해서, 예문 B쪽의 「みる」는, 「検索し」라고 하는 단어에 대해서, 「とにかくそれをする」라고 하는 의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본래의 의미는 없습니다.

예문 B의 「みる」와 같이, 다른 단어 뒤에 이어서 그 의미를 보충하는 기능을 하는 동사를 보조 동사라고 합니다.

보조동사는 다른 단어에 대해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동사가 본래 가지고 있는 의미는 없어져 있습니다. 형식적인 동사라고도 합니다.

보조동사는 부속어인 조동사와 작용이 비슷한데요, 문법적으로는 하나의 동사이자 자립어입니다. 그리고앞문절과연문절을만드는겁니다.

 

**************************************************************************************************************************

 

보조동사는 앞문절에서 계속 사용이 됐는데요. 다음 예시를 볼게요.

 

● これは花  ある 。 (助動詞「だ」の連用形)

● 花が置い  ある 。 (助詞「て」)

● 花はきれい  ある 。 (形容動詞の連用形の活用語尾)

 

 

이렇게 보조동사가 붙는 문절은 「て(で)」 의 형태가 됩니다.

 

덧붙여 보조 동사는 자립어이기 때문에, 그 단독으로 하나의 문절이 됩니다.

 

보조동사 앞에 놓이는 문절은 「―て(で)」 의 형태가 되는데 문법적으로는 다양해요.
동사의 연용형+조사 「て(で)」 의 형태 외에, 조동사 「だ」 의 연용형이나 형용동사의 연용형의 활용 어미도 이 형태의 문절을 만듭니다.위의 예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

 

보조동사로 제시되는 단어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다음 예를 보겠습니다.

 

 

 

書いて ある

食べて いる

置いて おく

買って くる

教えて くれる

死んで しまう

成功して みせる

やって みる

教えて もらう

助けて やる

飛んで ゆく(いく)

 

 

적자라는 단어가 보조동사죠.이예시처럼보조동사는실질적인의미가부족하기때문에히라가나로표기하는것이보통입니다.

덧붙여 경어동사 중에서도 다음과 같이 보조동사로서 사용되는 것이 몇 가지 있습니다.

 

飲んで いらっしゃる

励まして くださる

これで ございます

応援して いただく

運んで あげる

送って さしあげる

 

 

2 보조형용사

 

【A】眠くて食欲が 無い 。

【B】何も食べたく ない 。

 

 

 

어느 쪽의 예문도, 형용사의 「無い(ない)」 가 사용되고 있습니다(적자의 말)가, 그 의미가 미묘하게 다릅니다.

예문 A의 「無い」 라는 것은 「存在しない」 라는 본래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그에 반해 예문 B의 '「ない」는 「食べたい」 에 대해서 「~でない」라는 의미(부정)를 덧붙이는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예문 B의 「ない」 와 같이, 다른 단어 뒤에 이어서 그 의미를 보충하는 일을 하는 형용사를 보조 형용사라고 합니다.보조 형용사는, 보조 동사와 같이, 다른 어에 붙어서 보조적인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형식적인형용사라고도합니다.

보조형용사는부속어인조동사와작용이비슷한데요,문법적으로는하나의형용사이자자립어입니다.그리고앞문절과연문절을만듭니다.

보조 형용사의 예로서 「ない」 외에는 「ほしい」 등이 있습니다.

 

 

このケーキを食べて ほしい 

 

형용사나 형용동사의 연용형이 이어지는 「ない」'는 보조 형용사입니다.이에 대해서 동사의 미연형이 이어지는 「ない」'는 조동사입니다. 마찬가지로 「ない」 라고해도 품사가 다르다는것에 주의하세요.
단, 동사의 연용형에 조사 「て」 가 붙는 형태의 문절이라면 보조 형용사의 「ない」 에 연결될 수 있습니다.다음 예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 お菓子を食べ ない 。 (「ない」は助動詞조동사

● お菓子を食べ て ない 。 (「ない」は補助形容詞보조 형용사

 

보조동사와 보조형용사 모두 다른 단어 뒤에 이어서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용언입니다.이두가지를통해서보조용언또는형식용언이라고부릅니다.

보조용언은 문법적으로는 하나의 동사와 형용사이기 때문에 자립어로 하나의 문절을 만듭니다.그리고 바로 앞의 문절과 세트의 연문절이 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 형용동사의 활용과 활용형

형용동사를 활용하는 방법은, 다음의 1 종류뿐이다.


형용동사의 활용형에는, 명령형이 없다.

「こんなだ」「そんなだ」「あんなだ」「どんなだ」「同じだ」 는특수한활용을한다.

■ 형용동사 활용형의 주된 용법

○ 미연형은, 조동사 「う」에 연결된다.

○ 연용형 「―だっ」은, 조동사 「た」나 조사 「たり」에 연결된다.

○ 연용형 「―で」 는,

①「ない」「ある」(보조용언)에 이어진다.

② 조사「は」「も」 에연결된다.

③ 중지법에 이용한다.

○ 연용형 「―に」는, 용언에 이어진다.

○ 종지형은, 그 말로 문장이 끝날(단언) 때에 이용한다.

○ 연체형은, 체언에 이어진다.

○ 가정형은 조사 「ば」 에 이어진다( 「ば」 는 생략할 수 있다).

○ 어간만의 용법도 있다.

 

 


1. 형용동사의 활용과 활용형

きれい だろ う  (未然形)

きれい だっ た  (連用形)

きれい  ない  (連用形)

きれい  なる  (連用形)

きれい だ 。   (終止形)

きれい な とき  (連体形)

きれい なら (ば)(仮定形)

 

 

굵은 글씨는 「きれい」 이 어간이며, 붉은 글씨는 활용어미입니다.

「きれいだ」 에 한하지 않고, 형용동사로 분류되는 단어는, 원칙으로서 그 활용 어미가 「だろ・だっ・で・に・だ・な・なら」 이 됩니다.즉, 형용동사의 활용의 방법은 1 종류뿐입니다.

덧붙여 형용동사의 활용형도, 형용사와 같게, 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대형·가정형의 5개이며, 명령형은 없습니다.

 

 

「きれいです」 라고 하는 말을 하는 일이 있습니다만, 이것은 형용동사의 어간에 조동사 「です」 가 이어진 형태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를 1어의 형용동사로 하는 생각도 있습니다.그 생각을 취할 때는, 형용동사에는 또 1 종류의 활용의 방법이 존재하게 됩니다. (활용의 방법은, 조동사 「です」 와 같게 됩니다.)

******************************************************************************************************************************

 

형용동사의 활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형 어간 미연형  연용형 종지형 연체형 가정형 명령형
すてきだ すてき だろ

だっ

なら
親切だ 親切
용법

ナイ・アル

ナル

言い切る トキ (バ)

형용동사의 연용형은 세 개 있는 것과 명령형이 없다는 것에 주의합시다.

각 활용형의 용법에 대해서는 뒤에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형용동사의 활용의 방법은, 원칙으로서 이상에 말했던 대로입니다.그런데 형용동사로 여겨지는 단어 중에서도 이 모양이야.「こんなだ」「そんなだ」「あんなだ」「どんなだ」 및 「同じだ」 는 예외적으로 특수한 활용을 하는데요.

다음 예시를 보시겠습니다.

 

 

● こんな とき  そんな こと  あんな   どんな 

● 同じ 場所 (「同じ  場所」とは言わない。)

 

 

 

「とき」「こと」「人」「物」「場所」 라고 하는 말은 모두 명사(체언)이기 때문에, 이러한 語에 연결되는 형용동사는 연체형, 즉 「―な」 의 형태가 되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 원칙대로 형용동사의 「こんなだ」 가 명사 「とき」 에 연결될 때의 형태를 생각하면, 「こんなな﹅とき」가 됩니다.그러나 이런 식으로 말하지 않고, 위의 예와 같이, 어간의 「こんな」 을 직접 명사로 이어주는 식으로 표현합니다.

이렇게 형용동사「こんなだ」「そんなだ」「あんなだ」「どんなだ」「同じだ」 는 체언과 같은 것들이 이어질 때는 그 어간만을 사용합니다.

무엇보다, 이러한 단어에는 「―な」  의 형태의 연체형이 없는 것은 아니고, 조사 「ので」「のに」 등으로 이어지는 경우에만, 일반 형용동사와 같이, 「―な」 의 형태의 연체형이 나타납니다.다음 예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 見た目は こんなな のに 、学校の先生らしい。

● うしろ姿が 同じな ので 、よく間違えられる。

 

체언에 붙을 때의 こんな」「そんな」「あんな」「どんな」「同じ」 를 형용동사가 아닌, 연체사로 하는 생각도 있습니다.또 반대로, 일반적으로 연체사라고 생각되어지고 있는「大きな」「おかしな」 등의 말을, 연체형만이 존재하는 형용동사로 보는 생각도 있습니다. 

 

 

 

 

 

2. 형용동사의 활용형의 용법

 

 

형용동사에는, 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대형·가정형의 5개의 활용형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형용동사의 활용형의 용법은 다양한데, 여기에서는 각각의 활용형의 용법 중 대표적인 것만을 언급합니다.덧붙여 형용동사에는, 형용사와 같이, 어간만의 용법도 있습니다.

동사나 형용사의 활용과는 다른 부분이 많기 때문에 이들과 차이를 의식하면서 공부해 주세요.

 

 

(1) 未然形

 

● 彼の心境は 複雑だろ  。 (「複雑だ」の未然形)

 

이와 같이, 형용동사의 미연형은, 조동사의 「う」 에 연결될 때 사용됩니다.형용사와 같이, 「う」 에 이어지는 용법 밖에 없습니다.

 

 

(2) 連用形 

 

형용동사의 연용형에는 「―だっ」「―で」「―に」 의 세 가지 형태가 있어, 각각 용법이 다릅니다.

다음 각 예문의 적자말은, 모두 형용동사의 연용형 「―だっ」 입니다.

 

 

● 彼女は 元気だっ  。 (「元気だ」の連用形)

● 日によって、多忙だっ たり 退屈だっ たり する。 (「多忙だ」「退屈だ」の連用形)

 

이렇게 「―だっ」 의 형태는 조동사 「た」 와 조사 「たり」 에 이어집니다.

 

******************************************************************************************************************************

 

다음 각 예문의 적자말은, 모두 형용동사의 연용형 「―で」 입니다.

 

 

【A】 ここは 安全で ない(ある) 。 (「安全だ」の連用形)

【B】 好きで  ない。 嫌いで  ない。 (「好きだ」「嫌いだ」の連用形)

【C】 肌ざわりが なめらかで 、とてもきれいだ。 (「なめらかだ」の連用形)

 

 

 

먼저 「―で」 의 형태는 형용사의 「ない」 나 동사의 「ある」 와 연결됩니다(예문 A).

이 경우의 '「ない」「ある」 는 보조용언이에요.

다음으로 「―で」 의 형태는 조사 「は」 와 「も」에도 연관이 있습니다(예문 B)

그리고, 형용동사의 연용형에도 중지법의 용법이 있어, 「―で」 의 형태가 사용됩니다(예문 C).

중지법이란 연용형에 따라 글을 일단 중지한 후에 다시 이어가는 식의 표현 방법입니다.모든 용언의 연용형에는 중지법의 용법이 있습니다.

 

동사와 형용사, 형용동사와는 각각 「ない」 가 붙는 활용형이 다르다는 것을 주의하셔야 합니다.
동사의 경우는 미연형에 「ない」 가 붙는데, 형용사, 형용동사의 경우는 연용형에 「ない」 가 붙습니다.덧붙여서, 동사의 미연형에 붙는 「ない」 는 조동사로, 형용사·형용동사의 연용형에 붙는 「ない」 는 형용사(보조 형용사)입니다.

 

 

*************************************************************************************************************************

 

다음 예문의 적자말은, 형용동사의 연용형 「―に」 입니다.

 

 

(例)落ち着いて 冷静に なる 。 (「冷静だ」の連用形)

 

 

이와 같이 「―に」 의 형태는 「なる」 와 같은 여러 용언으로 이어집니다.

 

 

(3) 終止形

 

● この問題はとても 簡単だ 。 (「簡単だ」の終止形)

 

예문과 같이, 형용동사의 종지형은 그 말로 문장이 끝날(단언)(言い切る) 때에 사용됩니다.

형용동사의 종지형은, 형용동사의 기본형이며, 국어사전의 단어의 표제어로서 이용되는 형태입니다

 

 

종지형의 용법은 글을 단언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아요.형용동사의 종지형에는, 조동사나 조사에 이어지는 용법도 있습니다.다음 예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 この小説は ユニークだ そうだ 。 (「ユニークだ」の終止形)'독특해'의 종지형 

● この店は にぎやかだ と 評判だ。 (「にぎやかだ」の終止形)떠들썩하다의 종지형

 

 

 

 

 

(4) 連体形

 

 

● これは非常に 貴重な もの です。 (「貴重だ」の連体形)

 

이와 같이, 형용동사의 연체형은, 명사(체언)에 연결될 때 사용됩니다.

 

형용동사의 연체형에는, 체언에 잇따르는 용법 외에, 조동사 「ようだ」 나 조사 「ので」  등에 이어지는 용법도 있습니다.다음 예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 彼女は新しい部屋が 不満な ようだ 。 (「不満だ」の連体形)

● 彼は まじめな ので 信頼されている。 (「まじめだ」の連体形)

 

(5) 仮定形

 

 

● 波が おだやかなら (ば) 、泳ぎに行こう。 (「おだやかだ」の仮定形)

 

예문처럼 형용동사의 가정형은 ,조사「ば」 에연결되는데요.

동사나 형용사와 달리 형용동사의 가정형에 이어지는  「ば」 는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6) 語幹の用法어간의 용법 

 

형용동사에는 어간만의 용법도 있습니다.

다음 예시를 보세요.

 

【A】 まあ、すてき 。 (「すてきだ」の語幹)

【B】 あの人は、親切 そうだ 。 (「親切だ」の語幹)

 

예문 A의 적자 부분 「すてき」 는, 형용동사 「すてきだ」의 어간입니다.

이예문처럼형용동사의어간이단독적으로서술어가되는경우가있는데요.

또, 예문 B에서는 「親切だ」 의 어간 「親切」 이 「そうだ」 로 직접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경우의 「そうだ」 는, 양태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형용동사의 어간에 접속합니다.

 

 

 

형용동사의 어간 뿐만이 아니라, 형용사의 어간에도 양태의 조동사 「そうだ」 에 이어지는 용법이 있습니다.형용동사의 어간에는 조동사  「らしい」「です」 에 이어지는 용법도 있습니다만, 형용사의 어간에는 이러한 조동사에 직접 연결되는 용법은 없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 형용 동사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자립어로 활용이 있다.

단언의 형태가 다로 끝난다.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 있다.

■ 형용동사는, 글 속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

① 서술어 ( 「どんなだ」 의 문절)가 된다.

② 수식어(연대 수식어·연용 수식어)가 된다.

③ 주어가 된다( 「のが」「のは」「のも」 등이 붙는다).

④ 접속어가 된다(접속 조사가 붙는다).

 

 

 


 

 

1 형용동사 의 성질

형용동사는요, 형용사와 같이 사물의 성질,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인데요.

다음 예문의 적자 단어는 모두 형용동사입니다.

 

● 月が きれいだ 。  彼は 正直だ 。  日差しが あたたかだ 。

 

 

이와 같이, 형용동사는, 「どんなだ」 」라고 하는 성질, 상태를 나타내고 있죠.

.마지막 예 「あたたかだ」 같은 경우는 형용사 뒤에 나오는 「あたたかい」 라고 바꿔도 의미가 거의 바뀌지 않습니다.

 

 

*************************************************************************************************************************

 

 

형용동사도, 용언의 하나이며, 같은 용언인 동사나 형용사와 그 성질이나 작용이 매우 비슷합니다.형용동사의성질에대해서하나씩살펴보도록하겠습니다. '품사분류표'를 보고 확인하면서 배우시면 쉽게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형용동사와동사나형용사는요,단정의형태,즉활용이다릅니다.

 

 

 

(1) 자립어로, 활용이 있다

 

형용동사는 자립어입니다. 즉 단독으로 문절을 만들 수 있는 단어입니다.조동사나 조사 같은 부속어가 형용동사 뒤에 붙어서 하나의 문절을 만들기도 합니다.

그리고 형용동사는 활용이 있는 단어입니다. 즉, 문장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따라서 말의 모양이 변화합니다.예를 들어 「きれいだ」 는 형용동사를 활용시켜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星が きれいだ 

星が きれいだろ う。

星が きれいだっ た。

星が きれいで ない。

星が きれいに なる

星が きれいな とき

星が きれいなら ば

 

 

 

형용동사로 분류되는 단어는, 모두 활용의 방법이 같습니다.형용동사의 활용에 대해서는, 페이지를 재차 설명합니다.

 

 

(2) 단언의 형태가 「だ」 로 끝난다. 

 

 

例)静か   幸せ   健やか   なごやか   便利 

 

위에 나열한 단어는 모두 형용동사입니다.각 단어의 끝(파란색 글씨 부분)에 주목해 주세요.모두  「だ」 로 끝났어요.

이렇게 형용동사는요, 말을 할 때 형태가 「だ」 로 끝납니다.이것은, 위의 예로 든 단어 이외의 형용동사에 대해서도 들어맞습니다.

무엇보다, 형용동사는 그 형태가 변화하기(활용한다) 때문에, 문중에서는 반드시 「だ」 로 끝나는 형태가 된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여기에서는, 국어 사전의 표제어가 되는 형태(단절의 형태)가 「―だ」 가 되는 것에 주의해 주세요.

 

 

동사, 형용사, 형용동사는 모두 자립어로 활용이 되는 단어이며 또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 있습니다.

단지, 동사·형용사·형용동사는, 각각 단언의 형태가 다릅니다.즉 동사는 ウ단음, 형용사는「い」 , 형용동사는 「だ」 로 끝난다는 차이가 있죠.

 

 

(3) 단독으로 술어가 될 수 있다.

 

● 朝焼けにかがやく富士山は すてきだ 。

● こちらのテーブルは 静かで 、あちらは にぎやかだ 。

 

각각의 예문의 적자 부분은, 모두 형용동사 1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문절입니다.

형용동사가 그것만으로 「なにが―どんなだ」라고하는문형,

「どんなだ」에해당하는문절(서술어)을만들고있습니다.

이렇게 형용동사는 다른 말을 붙이지 않고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가 있는 단어인데요.

명사 등 용언 이외의 품사도 술어가 될 수는 있습니다만, 그 경우 단독이 아니라 부속어를 동반하는 형태의 문절을 만듭니다.

 

 

 

 


2. 형용동사의 기능

(1) 술어가 되다.

 

● 庭に咲いた花がとても きれいだ 。

● 庭に咲いた花がとても きれいだっ  。

 

 

위의두예문모두 「なにが―どんなだ」 와같은문형을이룰수가있는데요.

「花が」가  「なにが」에 해당하는 문절이고 「きれいだ」「きれいだった」가 「どんなだ」에 해당하는 문절입니다.

이와 같이 형용동사에는 서술어, 즉 「なにが―どんなだ」의 문형인 「どんなだ」에 해당하는 문절을 만드는 기능이 있습니다.이 경우, 형용동사는 단독인지, 또는, 부속어(조동사·조사)를 동반합니다.

 

 

 

(2) 수식어가 되다.

 

【A】 新鮮な 野菜を買う。 (連体修飾語)

【B】 新鮮だっ  野菜が腐る。 (連体修飾語)

【C】 子どもが 元気に 遊ぶ。 (連用修飾語)

【D】 子どもは 元気な ほど よい。 (連用修飾語)

 

 

예문 A의 「新鮮な」 은 「野菜」 라는 명사(체언)에 달려 있습니다.

예문B의 「新鮮だっ」도, 부속어 「た」 를 함께 「野菜」 에 달려있습니다.

A의 「新鮮な」과 B의 「新鮮だった」 은, 모두 연체 수식어입니다.

예문C의 「元気に」 는, 그 단어 단독으로 「遊ぶ」 라고 하는 동사(용언)에 걸려있습니다.

예문 D의 「元気な」 은, 부속어 「ほど」 를 수반하면서 「よい」 라고 하는 형용사(용언)에 달려 있습니다.

즉, C의 「元気に」 와 D의 「元気なほど」 는, 모두 연용 수식어입니다.

이와 같이, 형용동사는, 연체 수식어(체언을 수식)나 연용 수식어(용언을 수식)가 될 수 있습니다.두 경우 모두 부속어를 같이 쓰기도 하고 단독으로 수식어가 되기도 합니다.

단지, 동사와 달리, 형용동사는 단독으로 연용 수식어가 될 수 있는 것에 주의해 주세요.동사는 단독으로는 연용 수식어가 될 수 없습니다.형용사라면 단독으로 연용 수식어가 될 수 있습니다.

 

 

(3) 주어가 되다.

 

 

● 新鮮な のが 一番おいしい。

● 大変な のは 理解している。

 

「新鮮なのが」 라고 하는 문절은 형용동사 「新鮮な」 에 조사 「の」와 「が」가 붙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大変なのは」 이라고 하는 문절은 형용동사 「大変な」 에 조사 「の」 와 「は」 가 붙었습니다.

두 문장 모두 문절에서 주어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형용동사는 주어가 될 수도 있는데요.이 경우, 주어의 문절은, 형용동사(연대형)에 「…のが」「…のは」「…のも」등이 붙는 형태가 됩니다.

 

 

 

 

 

(4) 접속어가 되다

 

● 彼の仕事は 正確だ  、少し遅すぎる。

 

「正確だが」 는 형용동사 「正確だ」 에 접속 조사 「が」가 붙은 문절입니다.

이 문절은 문장 내에서 접속어의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형용동사는 접속조사를 함께 붙여서 접속어의 문절을 만들어 줄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의태어/의음어 의미
がみがみ 시끄럽게 잔소리하는 모습

꽥꽥, 딱딱
ずけずけ 거리낌없이 의견이나 말하는 모습.

툭툭
ずばずば 거침없이 발언하는 모습

척척
ずばり 정확히 단도직입적인 모습.

정곡을 정확히 찌르는 모양.  거침없이
たんたん 담담하고 무뚝뚝한 모습
ぬけぬけ 뻔뻔스러운, 뻔뻔한 모습.
はきはき 시원시원한 말씨가 또렷한 모습

또랑또랑
ぶうぶう 투덜투덜 불평하고 잔소리하는 모습
ぶつぶつ 중얼중얼 작은 소리로 중얼거리거나 불평불만을 말하는 모습.
의태어/의음어 의미
ぺちゃくちゃ 재잘재잘 수다를 떠는 모습
べらべら 종잡을 수 없이 지껄이는 모습
술술, 줄줄
ぺらぺら 술술 경쾌하게 거침없이 말하는 모습
ぼそっと 나직이 나지막이 하는 모습.
ぼそぼそ 나직나직하게 작은 목소리로 말하는 모습.
ぽつり 띄엄띄엄 한마디만 하는 모습
ぽろり 얼떨결에 입 밖으로 나와 버리는 모습.
ぽんぽん 땅땅 거들먹거리며 하는 모습
펑펑
むにゃむにゃ 중얼중얼하는 모양

 

의태어/의음어 의미
もぐもぐ 우물우물 입을 제대로 벌리지 않고 말하는 모습
반응형
728x90
반응형
■ 형용사의 활용과 활용형

형용사 활용의 방법은 다음 1종류뿐이다.

형용사의 활용형에는 명령형이 없다.

연용형이 음변의 형태(ウ음변)가 되는 경우가 있다.

■ 형용사 활용형 주요 용법

미연형은, 조동사 「う」 에 연결된다.

연용형인 「―かっ」 는 조동사 「た」 나 조사 「たり」 에 이어진다.

연용형 「―く」 는,

① 용언( 「なる」「ない」 등)과 관련된다.

② 조사 「て」「は」 에 연결된다.

③ 중지법에 이용한다.

종지형은, 그 말로 문장이 끝날(단언) 때에 이용한다.

연체형은 체언에 이어진다.

가정형은 조사 「ば」 에 이어진다.

어간만의 용법도 있다.

 

 

 


1. 형용사의 활용과 활용형

 

おいし かろ う  (未然形)

おいし かっ た  (連用形)

おいし  なる  (連用形)

おいし い 。   (終止形)

おいし い とき  (連体形)

おいし けれ ば  (仮定形)

 

 

굵은 글씨로 된 「おいし」 이 어간이며, 빨간색 부분이 활용어미입니다.

「おいしい」 에 한하지 않고 형용사로 분류되는 단어는 모두 그 활용어미가 「かろ・かっ・く・い・い・けれ」 가 됩니다.즉, 형용사 활용 방법은 1종류뿐입니다.

덧붙여 형용사의 활용형은, 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대형·가정형의 5개이며, 명령형은 없습니다.

 

 

 

***************************************************************************************************************************

 

형용사 활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형 어간 未然形
미연형
連用形
연용형
終止形
종지형
連体形
연체형
仮定形
가정형
命令形
명령형
よ い かろ

かっ

けれ
恋しい 恋し
用法_용법

ナイ・ナル

言い切る トキ

 

 

 

연용형이 두 개 있다는 점과 명령형이 없다는 점에 주의합시다.

 

 

위의 표에는 형용사 어례가 두 가지가 있는데요.현대에 와서는, 이것들은 같은 활용을 하는 단어로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よい」「恋しい」 의 옛말인 「よし」「恋し」 에서는, 각각의 활용 방법이 달랐습니다.

 

****************************************************************************************************************

 

5단 활용의 동사의 연용형에 음변(발음의 변화)이 있는 것을 배웠습니다만, 형용사의 연용형에도 음변이 있습니다.예를들어볼까요?

 

 

● お暑  ございます (← お暑 

● おめで とう ございます (← おめで たく

● うれ しゅう 存じます (← うれ しく

 

 

앞에 빨간 글씨가 바뀌고 난 뒤의 발음으로 괄호 안에 파란 글씨가 바뀌기 전의 발음입니다.

 

형용사의 연용형 「―く」 가 「ございます」「存じます」 에 이어지는 것에 의해서, 연용형 「―く」 의 활용 어미가 「う」로 변화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음변을 우음변이라고 해요.

 

 

「おめでとう」 나 「うれしゅう」 처럼 연용형의 활용어미뿐만 아니라 어간의 일부도 발음이 변화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형용사에 「ございます」 가 붙을 때는 반드시 음변의 형태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주의해 주세요.

「うれしく存じます」 라고 해도 틀리지 않습니다.

 

 

 

 

2.  형용사 활용형의 용법

 

형용사에는, 미연형·연용형·종지형·연대형·가정형의 다섯 개의 활용형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형용사 활용형의 용법은 다양한데 여기서는 각각의 활용형의 용법 중 대표적인 것만을 언급합니다.또한 형용사에는 어간만의 용법도 있습니다.

 

(1) 未然形 미연형

 

 

● 青森の冬は 寒かろ  。 (「寒い」の未然形) 

 

이와 같이 형용사의 미연형은 조동사 「う」 에 연결될 때 사용됩니다.동사와 달리, 「う」 에 이어지는 용법 밖에 없습니다. 

 

 

 

(2) 連用形  연용형

 

형용사 연용형에는 「―かっ」 과 「―く」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각각 용법이 다릅니다.

다음 각 예문의 적자말은 모두 형용사 연용형인 「―かっ」 입니다.

 

● 今年の夏は 暑かっ  。 (「暑い」の連用形)

● 暑かっ たり 、 寒かっ たり の陽気になる。 (「暑い」「寒い」の連用形)

 

 

이렇게 「―かっ」 의 형태는 조동사 「た」 와 조사 「たり」 에 연관이 됩니다.

 

***************************************************************************************************************

 

다음 각 예문의 적자말은 모두 형용사 연용형 「―く」 입니다. 

 

【A】 今年の冬は 寒く なるない) 。 (「寒い」の連用形)

【B】 安く  おいしい。 安く  ない。 (「安い」の連用形)

【C】 このサイトは おもしろく 、とても勉強になる。 (「おもしろい」の連用形)

 

 

먼저  「―く」 의 형태는 동사의 「なる」 와 형용사의 「ない」 와 같은 용언과 연결됩니다

(예문 A).「 すごく 快適だ 」 와 같은 형용동사로도 연결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く」 의 형태는 조사인 「て」 나 「は」 등에도 연결됩니다(예문 B).

마지막으로 형용사 연용형에도 중지법의 용법이 있으며, 「―かっ」 의 형태가 아닌 「―く」 의 형태가 사용됩니다

(예문 C).중지법이란 연용형에 따라 글을 일단 중지한 후에 다시 이어가는 식의 표현 방법입니다. 

 

 

동사와 형용사마다 「ない」 가 붙는 활용형이 다르다는 것에 유의해야 합니다.
동사일 경우에는 미연형에 「ない」 가 오는데 형용사의 경우에는 연용형에 「ない」 가 붙습니다.
덧붙여서, 동사의 미연형에 붙는 「ない」는 조동사이고, 형용사의 연용형에 붙는 「ない」는 형용사(보조 형용사)입니다. 

 

 

(3) 終止形 종지형

 

● 今年の冬は 寒い 。 (「寒い」の終止形)

 

예문처럼 형용사의 종지형은 그 말로 문장이 끝날 때(言い切る) 사용됩니다.

 

형용사의 종지형은 형용사의 기본형이고 국어사전의 단어 표제어로 사용되는 형입니다. 

 

종지형의 용법은 글을 단언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아요.형용사의 종지형에는요, 조동사나 조사에 이어지는 용법도 있습니다.다음 예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 明日は 寒い そうだ( らしい )。 (「寒い」の終止形)

● この店は 安い と 評判だ。 (「安い」の終止形) 

 

(4) 連体形 연체형 

 

 

● 寒い  がきた。 (「寒い」の連体形)

 

 

이와 같이 형용사 연체형은 名詞(体言) 명사(체언)에 연결될 때 사용됩니다. 

 

 

형용사의 연체형에는, 체언에 잇따르는 용법 외에, 조동사 「ようだ」나 조사 「の」 등에 이어지는 용법도 있습니다.다음 예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 彼は つらい ようだ 。 (「つらい」の連体形)

● 痛い の を我慢する。 (「痛い」の連体形)

 

 

(5) 仮定形 가정형

 

● 治療は、早けれ  早いほどよい。 (「早い」の仮定形)

 

 

예문처럼 형용사의  가정형은 조사 「ば」 에연결됩니다.

 

 

 

(6) 語幹の用法 어간 용법

 

형용사에는 어간만의 용법도 있습니다.

 

 

【A】 おお、 。 (「寒い」の語幹)

【B】 本当に  そうだ 。 (「痛い」の語幹)

 

 

예문 A 같은 경우는 「寒い」 의 어간 「寒」 으로 문장이 끝났습니다.이렇게 형용사의 어간에는 단독으로 서술어가 되는 용법들이 있는데요.

또, 예문 B에서는, 「痛い」 의 어간 「痛」 이 조동사 「そうだ」 에 직접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때 「そうだ」 는 양태의 의미를 나타내는 조동사로 형용사의 어간에 접속합니다. 

반응형
728x90
반응형
형용사의 성질

형용사는,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진다.

①자립어로, 활용이 있다.

②단언의 형태가 「い」로 끝난다.

③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 있다.

■  형용사의 기능

형용사는 문중에서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다.

①서술어(「どんなだ」의 문절)가 된다.

수식어(연대 수식어·연용 수식어)가 된다.

③ 주어가 된다(「のが」「のは」「のも」등이 붙는다).

④ 접속어가 된다(접속 조사가 붙는다).

 

 

 


 

 

1. 형용사의 성질

 

형용사 는사물의성질,상태를나타내는단어입니다.예를들어볼까요?

 

 

● 線が 太い 。(性質).(성질)   お腹が 太る 。(作用) (작용)

● 心が 悲しい 。(状態) (상태)   親が 悲しむ 。(動作)(동작)

 

 

빨간 단어 「太い」「悲しい」 가 형용사이고, 파란 단어「太る」「悲しむ」 가 동사입니다.

 

.동사가 「どうする」「どうなる」 라고 하는 동작·작용을 나타내는 것에 비해, 형용사는「どんなだ」 라고 하는 성질·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형용사는 용언의 하나이며, 같은 용언인 동사나 형용동사와 그 성질이나 기능이 매우 비슷합니다.형용사의 성질에 대해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품사 분류표」를 보고 확인하면 알기 쉬울 것입니다. 

 

 

(1) 자립어로, 활용이 있다

 

형용사는 자립어입니다. 즉 단독으로 문절을 만들 수 있는 단어입니다.조동사나 조사 같은 부속어가 형용사 뒤에 붙어서 하나의 문절을 만들기도 합니다.

그리고 형용사는 활용이 있는 단어입니다. 즉, 글에서 어떻게 쓰이느냐에 따라서 단어 형태가 달라집니다.예를들어아름답다라는형용사를활용시켜보면다음과같습니다.

 

 

月が 美しい 。

月が 美しかろ う。

月が 美しかっ た。

月が 美しく ない。

月が 美しい とき

月が 美しけれ 

 

형용사로 분류되는 단어는 동사와 달리 모두 똑같이 활용합니다.각 활용형의 용법도 동사와 다릅니다.

 

 

(2) 단언의 모양이 「い」로 끝나다.

 

 

(例)大き   熱   赤   さみし   激し 

 

 

위에 나열된 단어는 모두 형용사입니다.각 단어의 끝(파란색 글씨 부분)에 주목해 주세요.모두 「い」로 끝났습니다.

이렇게 형용사는 잘라 말할 때 모양이 「い」로 끝납니다.이것은, 위의 예에 든 단어 이외의 형용사에 대해서도 해당됩니다.

무엇보다, 형용사는 그 형태가 변화하기(活用する)때문에, 문중에서는 반드시 「い」로 끝나는 형태가 된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여기에서는, 국어 사전의 표제가 되는 형태(단언의 형태)가 「い」가 되는 것에 주의해 주세요.

 

동사,형용사,형용동사는 모두 자립어이며 활용이 있는 단어이고 또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가 있습니다.
단지, 동사·형용사·형용동사는, 각각 단언의 형태가 다릅니다.
즉, 동사는 우단음, 형용사는 「い」 , 형용동사는 「だ」로 끝난다고 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3) 단독으로 술어가 될 수 있다.

 

 

 

お店で食べる料理は おいしい 

気温が 高く 、湿気が 多い 

 

각 예문의 적자 부분은 모두 형용사 한 단어로 이루어진 문절입니다.형용사가 그것만으로, 「なにが―どんなだ」

라고 하는 문형의 「どんなだ」 에 해당하는 문절(서술어)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렇게 형용사는 다른 말을 붙이지 않고 단독으로 서술어가 될 수 있는 단어인데요.

그래서 명사 등 용언 이외의 품사도 서술어가 될 수는 있는데 이때는 단독이 아닌 부속어를 동반하는 그런 문절을 만들 수가 있습니다.

 

 

 

 

2. 형용사의 작용

 

 

(1) 술어가 되다 

 

この猫が一番 かわいい 。

この本は、あまり おもしろく なかっ  。

 

 

위의 두 가지 예문은 모두 「なにが―どんなだ」 의 문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猫が」「本は」 이 「なにが」에 해당하는 문절(주어)이며, 「かわいい」「おもしろくなかった」 「どんなだ」 에 해당하는 문절(서술어)입니다.

 

 

 

이렇게 형용사에서는 서술어, 즉「なにが―どんなだ」 의문형의 「どんなだ」 에해당하는문절을만드는기능이있는데요. 

 

 

이 경우에는 형용사가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부속어(조동사, 조사)가 붙습니다.

 

 

(2) 수식어가 되다

 

【A】激しい 雨が降る。 (連体修飾語)

【B】激しかっ  雨が止んだ。 (連体修飾語)

【C】雨が 激しく 降る。 (連用修飾語)

【D】雨はそれほど 激しく  降らない。 (連用修飾語)

 

 

 

각각의예문의적자말은,모두형용사 「激しい」 가활용하는형태입니다.

 

예문 A에서 「激しい」 는 「雨」 라는 명사(체언)에 달려 있습니다.

예문 B의 「激しかっ」 라는 것도 부속어 「た」 가 붙으면서 「雨」가 붙었습니다.

A의 격렬함과 B의 격렬함은 모두 연체 수식어입니다.

 

 

예문 C의 「激しく」 는, 그것 단독으로 「降る」 라고 하는 동사(용언)에 걸려 있습니다.

예문D의 「激しく」 는 부속어 「は」를따라서 「降ら(降る)」 에붙여있습니다

 

즉, C와 D의 '격렬하게'는 연용 수식어입니다.

 

 

이와 같이, 형용사는, 연체 수식어(체언을 수식)나 연용 수식어(용언을 수식)가 될 수 있습니다.어떤 경우든 부속어를 붙이거나 단독으로 수식어가 되기도 합니다.

 

다만 동사와 달리 형용사는 단독으로 연용수식어가 될 수가 있다,라고 하는 것을 주의하시면 되겠습니다.동사는 단독으로 연용 수식어가 될 수가 없습니다.

 

 

(3) 주어가 되다

 

青い のが ほしい。

辛い のは 好みでない。

 

「青いのが」 라고 하는 문절은 형용사 「青い」 에 조사 「の」 「が」 가 붙어서 나온 것입니다.그리고

「辛いのは」 이라고 하는 문절은 형용사 「辛い」 에 조사 「の」와「は」 가 붙어서 나온 것입니다.

두 문장 모두 문중에서 주어의 작용을 합니다.

 

 

이렇게 형용사는 주어가 되기도 하는데요.이 경우, 주어의 문절은, 형용사(연대형)에 「…のが」「…のは」「…のも」 등이 붙는 형태가 됩니다.

 

 

(4) 접속어가 되다 

 

室内が 暖かい ので 、冬でも快適だ。

 

「暖かいので」 는 형용사 「暖かい」 에 접속 조사 기 때문에가 붙은 문장입니다.이 문절은요, 문장 내에서 접속어의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형용사는접속조사를함께해서접속어문절을만들수도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